본문 바로가기

무기이야기/세계 각국 군사력

아르핸티나 군사력

 세계군사력 랭킹  40위  (2022년 ) 

남미대륙 남동부 / 인    구 : 45,843,651명 (2022년 추계),         수    도  :  부에노스아이레스

면        적  :   2,780,400.0㎢,    인구밀도  : 16명/㎢,            

공식명칭  :  아르헨티나 공화국 (Argentine Republic)

민족구성  :  이탈리아계 에스파냐계 백인(97%)

언       어  :  에스파냐어 정부/의회형태 연방공화제 / 양원제

종       교  :  로마가톨릭(92%), 개신교(2%), 유대교

화       폐  :  아르헨티나 페소 (ARS),  GDP :

전       압  :  240V, 250V / 50Hz

 

아르핸티나 에 처음으로 도착한 유럽인은 스페인인이었지만 이들의  정착은 서서히  이루어졌다.  1536년  세워진 부에노스아이레스는 

인디언들의습격이 잦고 담수가 부족하여 1년 후에 버려졌다. 뒤이어 칠레·페루·파라과이(아순시온) 같은 다른 스페인 식민지들로부터

온 스페인 이  아르헨티나에  정착하기 시작했고,  원주민과의  결혼도  널리  이루어졌다.   이러한  공동체는  인디언  노동력과  스페인

인들이 들여온 말·소·양과 옥수수·감자 같은 토산품을 기반으로 해서 단순하지만 활기찬 사회로  발전했다.  1776년까지 아르헨티나는

페루 부왕령의  일부였으나,이후부에노스아이레스를 수도로 한 신생(新生)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에 속하게 되었다. 수도로 승격되고

유럽의 지식과 사상이 유입되면서 부에노스아이레스는 남아메리카에 있는 스페인 식민지들 사이에서 지도적인 위치에 서게 되었다.

 

 

1853년 제헌회의가 산타페에서 열렸고, 새 헌법이  채택되었다.부에노스아이레스는 처음에는 다른 주와의 통합을 거부했으나, 1860년

다른 주들의 무력사용에 패하여 통합을 받아들였다. 외국 자본과 기술의 원조로 철도가  잇달아 건설되었다.  철조망,  개량종인 소와 양

냉동기술 등도 도입되었고, 유럽에 낙농제품을 대규모로 수출하게 되었다.  무역이 성장함에  따라 늘어난 정부수입은  이주민의 유입을

육성하고 공교육제도를 확립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1880년에 들어와서 에스탄시에로로 불리는  대농장주들이 핵심을 이룬 보수적인

과두정치시대가 열렸다(에스탄시아).   이 체제는 1916년 민주적으로  선출된  온건 정부로  계승되었으나  1930년 군부  쿠데타가 일어

나면서 한동안 유지되던 민정은 사실상 끝이 났다. 

 

 

불안한 정국은 10년간 계속되다 1940년대 초 후안 페론이 카리스마적인 민중지도자로 떠오르면서  전환점을 맞았다.   1946년 대통령이

된 페론은 급속한 산업 확대 및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개입 정책을 펴고 노동자의 사회적 이익증진에 목표를 둔 개혁을 단행했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정책은 실패로 끝났으며,  1955년  그는   군부에  의해  축출되어  망명길에 .오르게  되었으며  이후 20년  동안에도

악성 인플레이션, 파업, 높은 실업률, 잦은 정권교체 등이 계속되었다. 1973년 페론은  망명지에서 돌아와  대통령에 재선되었다.1974년

그가 죽자  3번째 부인이던   이사벨 페론이   대통령직을 계승했으나,  1976년  군장교들에  의해 실각했다. 아르헨티나를 장악한 군부는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초까지 군정전복혐의로 최소한 1만 명의 사람들을 처형했다. 1982년 4월  아르헨티나군이  소유권을주장해

왔던 포클랜드 제도를 침공하여점령했다. 같은 해 6월 영국군이 제도를 탈환함에 따라  군부는 치욕속에 소유권을 포기했다.

 

 

1983년 총선이 실시되었다. 대통령이 된 라울 알폰신은 군정이 저질러온 악습을 퇴치하려는 정책을 단행했다.  또한 높은 연평균 물가

인상률과 막대한 외채를 줄이고자 노력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이로 인해  1989년  5월 대통령 선거에서   페론당의 카를로스

사울 메넴에게 패했다. 페론 전 대통령의 이미지를 부각시켜 페론주의  지지층인  빈민과 노동계급에   호소함으로써 선거에 승리할 수

있었던 메넴은  노동자·기업·정부 사이의 임금-가격  협정에 기초하여  낮은 관세와 비효율적인  공기업의 민영화 등  자유시장 경제체

제를 계획했다.메넴은 경제위기를 맞자 군부의 지원을 얻기 위해 인권침해로 기소된 자들을 사면하여 후에  비난을 받기도 했다. 한편

포클랜드 전쟁에서 비롯된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영국과의 외교관계를재정립했다.  메넴이 성공적으로  인플레이션율을 낮출수있었던 

데는  도밍고카바요  경제장관의  도움이 컸다.   1994년  알폰신  전대통령과의  합의를통해  대통령  연임을 골자로  하는 헌법개정을 

이루어 낸 메넴은  1995년 재선 에 성공했다.

 

전차전력   TAM2C : 231대,                       SK105 경전차 :  118대       

TAM 보병전투차  :  123대                         M113A1/A3 계열 :   494대,     

WZ 550 / WZ 551,                                   PANHARD : 48 대,           

밴 즈 2624 트럭                                        M54트럭 : 100 대,                       

M 916A2 트럭 : 80 대                               

VLEGA GAUCHO : 28 대,         

HUMVEE : 44 대                                    폴라리스 : ? 

아르핸티나 특숩원 워리어 프랫폼

 

 

 TAM 중전차 : 231 대

 

 

  SK105  경전차 : 118 대 

 

 

TAM 보병전투차 : 123 대

 

 

M113A1/A3 계열 : 498 대  /    아래 M577 지휘장갑차

 

 

  WZ 550 / 아래 WZ 551

 

 

  PANHARD  :  48 대

 

 

 밴   즈 2624 트럭

 

 

M54트럭 : 100 대

 

 

  M 916A2 트럭 : 80 대

 

 

M35 트럭

 

 

  VLEGA GAUCHO ; 28 대

 

 

  HUMVEE  :  44 대

 

 

   폴라리스

 

  FMK 기괸단총 ,           FAMAS 돌격소총,               STERLING 기관총,           MAG,       

  MG3,                         AT-4 자동 유탄발사기,          AUGT 불펌소총 

 

PAL 돌격소총

 

M16A1 아래 M16A2

 

  M-4 카빈

 

 

 

 GALIL ACE 소총

 

모스보그 5, 아래 이사카 산탄총

 

   H&K MP-5

 

APC -9 기관단총

 

 COLT 9mm 기관단총

       

 H& K-21 기관총

 

    MAC 기관총 

 

 M240 MINIMI 기관총  /   M249  기괸총  

 

 

35mm 오리콘 대공포 : 38 문

 

 

   오리콘   20mm 견인대공포 

 

 

 BO PORS  40mm  대공포  :  24 문

  

 

CITEDEF  :  20  문  

 

 

 PAMPERO MRL : 4 문 

 

 

 TAMVELC  :  2 문 

 

 

 MKF-3  155  mm   :   20  문  

 

 

  TAM 155mm  자주포 : 17문  

 

 

 OTOMALALA  MOD 56  105mm  견인포 

 

 

 CITER  155 견인포 고서포 : 108문 

 

 

 105mm 견인무반동포 

 

 

  M 106 120 mm 자주박격포  :  20 문  

 

 

 TAM 120mm  자주박격포 : 13 문 

 

 

 60mm,             81mm ,           120mm 

 

 

 120mm  견인박격포 

 

 

  BMG -70 ,   아래로   칼그스타프 ,    ZT-4 ,    블로우 파이프    

 알미란데 브라운급  3,300톤급 구축함4척,         

 SSK 2300 톤 :  1척               에스포라급  1,700톤급 초계함  6 척,       

 1,600톤급 원양초계4척         1,200톤급 SS               

 1,200톤급 초계함 3척           경비정  1 척                 

 군수지원함  :  1척                보조함  :  3 척 

 해군항공기9기(+4)               해군헬기4기전투함           총합41척

 

 

  고윈드 원양초계함  

 

 

  에스포라급  :   : 6척 (1600톤급 ) 

 

 

  드레먼드급  : 1320톤 : 3척  

 

 

 알레피다급 260톤급  고속정  : 2척  

 

 

   에로 크레스 급  군수 지원선  

 

 

  네프데가스급  

 

 

   바이어 산급  

 

 

   알미 급 쇄빙선  

 

 

 아르해티나해군  훈련선  

 

 

  산타크루즈  잔수함  :  1척  

스카이호크  Skyhawk  A-4 AR  : 23기 

 

 

 AMXII   

 

 

 수퍼에탕다르  공격기  

 

 

  A63 Pampa 고등 훈련기 :  18  기  

 

 

  EMB -312 TUCANO  : 14 기  

 

 

  TEXAN  6C  :  12  기 

 

 

  AT63 PAMPA   고등훈련기 : 18 기 

 

 

  GROB G- 120 TP :  7   기    

 

 

  PIPER 

 

 

  TURBO 

 

 

  LEARJET 35  EC--21A  전자전기 : 1  기

 

  

BOEING  737 :  VIP  수송기 

 

 

BELL 212 : 12  기 

 

 

MILMI 171  수송핼기  :  2 기    

 

 

  아래 SIKORSKY -S-76 VIP 수송기핼기 1 기

 

 

   BELL412  :   6 기

 

   해군  운욜하는  항공기 

   S-2    트래커 해살초계기  

 

 

    P3B :  4기

 

 

  AS551  해상초계핼기 

 

 

육군 운용하는  항공기 전력  

 FAIRCHILD SWEARINGEN SA226  :  6 기 

 

 

  DA42 M TWINSTAR  간시정찰기 : 3기

 

 

  C-130H : 4  기

 

 

CASA 212  : 3  기 

 

 

 CESSNA 208 B2/  EX  : 4  기 

 

 

    T41D MESCALERO  훈련기   :   5 기 

 

 

  BELL 206  훈련기  :  20 기 

 

 

 AS 332  SUPERPUMA  : 3  기 

 

 

 UH1H :  44  기    

 

 

   아래 BELL 212 : 1기

 

'무기이야기 > 세계 각국 군사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 루 군사력  (2) 2022.10.22
콜롬비아 군사력  (1) 2022.10.14
브라질 군사력  (0) 2022.09.20
니콰라과 군사력  (0) 2022.09.11
과테말라 군사력  (0) 2022.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