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기이야기/세계 각국 군사력

베네수앨라 군사력

     세계군사력 랭킹 45위 (2022년 ) 

남미대륙 북부           인   구  :  26,920,000명 (2022년 추계),   수    도   : 카라카스    

면      적   :   916,445㎢ 세계면적순위                     
공식명칭  :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공화국 (Republica Bolivariana de Venezuela)                     
민족구성  :   메스티소(67%), 백인(21%), 흑인                     
언      어  :   에스파냐어                 정부/의회형태  :   연방공화제 / 다당제&단원제                     
종      교  :   로마가톨릭(96%), 개신교(2%)                     
화      폐  :   볼리바르 (VEF) ,                              GDP  :   USD 100,845,000,000                     
인구밀도  :   31명/㎢                                           전  압  :  압110V/ 60Hz    

국가베네수엘라   소속베네수엘라 국방부   기록  2019년 기준   

상비군  137,000 명    (병역제도징병제, 모병제(징모혼합제 )
★ 육군력  :  전    차 : 300 대,              장 갑차(APCs/IFVs) :  2534  대
                   견인포 : 104 문,              자주포 :  60 대,           MLRS : 54 대 
★ 공군력  :  핼   기  :  88 기,              전투기  :  44 기,         

                   공군기 총합 :  260  기 
★ 해군력  :  GFP 기준 호위함(프리깃)2 척 
초계함(고속정)31 척,                           잠수함2 척,               전투함 총합 46 척  

 

베네수엘라는  1498년  콜럼버스의  탐험대가 발견해 1499년부터  스페인이 식민지 통치를  하게 되었다.  1819년 볼리바르(Bolivar, S.)

지도하에 독립전쟁에 승리하여 대(大)콜롬비아연방으로  독립을 달성하였다.그 뒤 1830년 대콜롬비아 연방의 와해로 베네수엘라 공화국

으로 완전 독립하였다.  독립이후 1세기이상 내분과 독재 등 정치적 불안이 계속되고 여러차례에 걸쳐 군사독재정권과  쿠데타가 되풀이

되었다. 1958년 민주행동당의 베탕쿠르트(Betancourt,R.)대통령의 집권을 계기로민주주의체제가 자리잡았고, 그 밖에 정치·사회·문화

등 여러분야에서 개혁이 이루어져 민주정치의  기틀이확립되었다. 

 

 

군부는  독립이후  오랜기간 동안 절대적인  정치권력을 행사하였 으나, 1958년 이후정치에  직접개입하지않고 있으며, 역대정부는 군부의

정치적  중립유지를  위하여 처우개선 등  특별한  배려를하고  있다.  1961년 6월에 제정된헌법은 공화제와  삼권분립의  정 치구조를규정

하고  있으며,  현재의  정치권력은   1999년  12월에    공포된 신헌법에 기초한다.  1969년 칼데라 정권이  성립된 이후 종래의  반공 친미

노선에서탈피하여 공산권과의  외교관계를 재개하였고,  1975년 라틴아메리카  경제조직(SELA)의  창설에 주도적 구실을 하였다. 대외적

으로는급진좌파의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1945년 유엔에,  1989년비동맹회의에 가입하였다.                            2세대 T-72B1V) : 92대 

 

 

베네수앨라는 세계 석유 매장량이 1위일 정도이며, 1950년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전  세계 4위의 부국이었으나, 1980년대 후반

IMF구제금융을 받게 되면서 경제가 휘청이고, 군 장교   출신의 지도자 우고 차베스의 정책과 미국의 방해 그리고  경제봉쇄로 인해서

남미 최대의 빈국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차베스 정권 들어서 러시아와  밀월 관계를 시작,  마두로 정권인  현재까지 계속  유지중이며,

무기도 거의 러시아제 일색인편이다. 국방인민권력부는 국방부이며  행정기관이다. 전략작전사령부는 군사업무를 담당하는  최고기구

이며, 국방부의 명령은 받지만보고시 국방부를통하지 않고 대통령에게 보고가 가능하다. 역대 전략작전사령부의 사령관은 공군출신은

없으며,주로 육군과 해군출신이다.현재 니콜라스 마두로의 개인사병화(私兵化)가 된상태이다.  이들은 마두로 정권에 충성하는 대가로

국유화된석유산업 전반을 직접 관리하며 경제, 정치, 문화 전반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2세대 주력전차 (AMX-30) : 84대 

 

 

 

 경전차 FV-101 SCORPION : 78대

 

 

경전차 (AMX-13C.90) : 36대

 

 

 장갑차 (AMX-VCI APC) : 75대

 

 

장갑차 (BMP-3M IFV) : 130대

 

 

 장갑차 (BTR-80A APC) : 114대

 

 

장갑차 (V-100 APC) : 50대 

 

 

   장갑차 (V-150 APC) : 30대

 

 

  장갑차 DRAGOON 300 LFV2) : 42,             DRAGOON AFV) : 59대    계101대 

 

 

장갑차 PANHARD AML-S530  : 10대

 

 

 장갑차 NORINCO CS/VP4  : ?대



 자주포  2S19 MSTA-S  : 48문

 

 

   자주포  AMX-13 155mm  : 12문

 

 

 2S23 120mm 자주박격포  : 13문

 

 

 견인포 M114 155mm   : 24문

 

 

견인포 M101A1 105mm  : 40문

 

 

 견인포  M-56 105mm   : 40문

 

 

  다연장로켓 (SR-5 MRL) : 18문

 

 

 다연장로켓  BM-21 GRAD  : 24문



  BM-30 SMERCH : 12

 

 

  LAND CRUISER J70 : 1,000대

 

 

 M35 PENIX / REO/ REO2  :  1214 대  50대 / 50 대       계 1314 대 

 

 

   URAL-4320 트럭  : 320대

 

 

  지뢰제거차량 

 

 

 베네수엘라 육군 장거리 방공 미사일 (S-300VM) : 2문

 

 

중거리 방공 미사일 (BUK-M2) : 20문

 

 

 육군 중거리 미사일 (S-125 PECHORA-2M) : 10문

 

 

육군 대공포 (ZU-23-2 23mm 대공포) : 300문

 

 

박격포 (MO-120 120mm 박격포) : ?문

 

 

박격포 (2S12 SANI 120mm 박격포) : 48문

베네수앨라가 부유했던  1982년 에  F-1A/B  24대를도입해서현재20대를

운용중이다. 우고차베스 의  2차구데타시도  당시에  베네수앨라

반란군의  OV-10 브롱코를  정부군의 F-16이  격추시킨적이있다. 

마두로정권을 들어서 2015년 에러시아로브터 SU-32MK2 23를 도입하였다.

카리브해에서   미겅군 정찰기에    위협비행하는등   대립각을 세우고있다.

4세대  F-16A/B FALCON   :  20  기   

4세대  SUKHOI SU-30Mk2 :  22기                         3세대  F-5E  : 6 기         

 

 

 

  SU-30 MK 2 :  22 기 

  

 

 3세대 전투기 (F-5A FREEDOM) : 6

 

 

육군 경량 수송기 (IAI ARAVA) : 4

 

 

 육군 경량 수송기 (CESSNA 206) : 2기       육군 경량수송기 CESSNA 182  : 6기

 

 

 육군 경량 수송기 (PZL M28) : 11기



 공군 다목적 수송기 (KING AIR 200) : 2기

 

 

공군 다목적 수송기 (KING AIR 350) : 3기

 

 

 공군 다목적 수송기 (SHORT 360) : 2기

 

 

공군 수송기 (SHAANXI Y-8) : 8기

 

 

공군 수송기 (C-130H HERCULES) : 3기

 

 

공군 수송기 (DORNIER DO-228NG) : 3기

 

 

 해군 수송기 (CASA C-212-400) : 3기

 

 

국경수비대 수송기 PZL M28 SKYTRUCK : 13기

 

 

  HONGDU K-8 중국산 젯트훈련기 : 24기 

 

 

공군 다용도 훈련기 DIAMOND DA42 : 6기

 

 

공군 훈련기 EMBRAER EMB-312: 18기

 

 

공군 기본 훈련기 MARCHETTI SF.260 : 12기

 

 

공군 공중급유기 (BOEING 707) : 1기 

 

 

 육군 수송 헬리콥터 (Mil Mi-17V-5) : 21기



 육군 화물 수송 헬리콥터 (Mil Mi-26T2) : 3기



육군 수송/훈련용 헬리콥터 (BELL-206B) : 3기

 

 

 육군 수송 헬리콥터 (BELL-412EP) : 10기

 

 

육군 수송 헬리콥터 (AS-61D SEA KING) : 3기

 

 

 공군 다목적 헬리콥터 (Mil Mi-8) : 3기

 

 

 공군 다목적 헬리콥터 (Mil Mi-17) : 3기

 

 

공군 수송 헬리콥터 (AS532) : 10기

 


공군 훈련용 헬리콥터 (ENSTROM 280) : 2기

 

 

 공군 훈련 헬리콥터 (ENSTROM 480) : 12기 (+4기)

 

 

해군 수송 헬기   BELL 412

 

 

 해군 수송 헬리콥터 (BELL-212) : 5기

 

 

해군수송 헬리콥터 (BELL-412) : 4기

 

 

  해군 수송 헬리콥터 Mil Mi-17V-5 : 6기

 

 

 해군 대잠용 헬리콥터 (HARBIN Z-9) : (+8기)

 

 

 국민방위군 수송 헬리콥터 BELL-206  : ?기

 

 

육군 공격 헬리콥터 (Mil Mi-35M2) : 10기

 

 

 공군 무인기 (SANT ARPÍA UAV) : 12기

 

1972년 노후화된 구형 호위함을 데체할목적으로  이탈리아 CNR사로부터 2500톤급 6척의 루포급  을

도입하였다.  Marissale Sucre 운용하다가  3척을  톼역시키고  나머지 3척중 2척을  미국에서 레이더

및, ESM/ECM 소나,앤진을 모두교체하는개수를 하는데대대적인 개수를 바았고 1척이 추가로 개수될 

예정이다.     전투 시스템으로 엘빗社의 NTCS 2000을 탑재,  SPS-702 대공/대수상 레이다.

엘타社의 EL/M-2238 3차원 대공/대수상 레이다로 교체,    SQS-56 소나를 노스롭 그루만社의

21 HS-7로 교체ESM/ECM 시스템을 엘리스라社의 9003/9005로 교체 하였다.

마리스칼 수커급 호위함 : 2 척

 잠수함은 1,300톤급 209급 잠수함 2척을 보유중이다. 1976년에 인도받았으며, 2004년부터 2011년까지 국영 조선소 DIANCA에서

현대화개량을 했다. 새로운 전자장비, 엔지니어링, 마스트 및 스노클링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했다.베네수엘라 연방 속지의 아베스

섬에극소수의 인원이 상주하고 있다. 미국과 적대적인 국가이지만 이란과비슷하계 1080년대까지는 상당히 우호적인국가였다. 

 독일하데배 사의 209급 잠수함 2척

 

 

고속정 칸스티투시엔급 고속정  : 6척

 

 

가이카마쿠토급 원양초계함  : 3척

     

 

  과이케리급 원양초계함  : 3척

 

 

가비온급 경비정) : 12척

  

 

시우다드 볼리바르급 보급선 : 1척

 

 

로스 프릴 레스급 수송선  : 4척

 

 

카파나급 전차상륙함  : 4척

 

 

'무기이야기 > 세계 각국 군사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군사력 순위 2022년  (0) 2022.12.05
우루과이 군사력  (0) 2022.11.26
에콰도르 군사력  (0) 2022.11.07
칠 례 군사력  (1) 2022.10.30
페 루 군사력  (2) 2022.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