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군사력 랭킹 12위( 2022년 )
2020년 (추계) 인 구 : 100,388,073명 , 수 도 : 카이로, 면 적 : 996,603㎢
공식 명칭 : 이집트 아랍 공화국 (The Arab Republic of Egypt)
민족 구성 : 이집트인(98%), 베르베르인, 누비아 언 어 : 아랍어
정부/의회형태 : 공화제 / 단원제 종 교 : 이슬람교(90%), 콥트교회(9%)
화 폐 : 이집트 파운드 (LE) 환율계산기GDP
U S D : 237,073,000,000 개 인 : 2,362 USD
개인소득 : 3,000 $ 미만나라차곤
2019 년가준 상비군 : 448,500명 , 예비군 : 480,000
이집트 육군 전력
3세대 전차 : 1,110대, 2세대전차 : 1,350대,
2세대전차 종류 : M60A3 : 1,716 대, 미/ 이,
T-62 : 500 대 소련/이잡
람세스 II 전차 : 260 대 이집트 비축
T-55 : 340 비축
장갑차(APCs/IFVs) : 5,106대,
자 주 포 : 492문,
견인포 : 962문, MLRS : 45 문. 자주곡사포 : M109(A2/A5), SPH 122M, M110A2
자주박격포 : M120M, M10 6A2, M125A2, 박격포 : 2542문
대 공자주포 : ZSU-57-2, ZSU-23-4, 단거리 대공미사일 : 9K31 스트렐, MIM-72,
다연장로켓 : BM-21, BM-24, 구룡, RM-51, M270, 63식 다연장로켓
VAP-80, M1A1 BMT 아래 TU-80 : 34 대 ↓
M-60/A3 : 1716 대
T -62 : 500대
T -55 개량형 (람세스 -2 전차 ) : 260대
T-55 : 340 대
장륜장갑차 : OT-64C, BRDM-2, BTR-60PB, TR-152K, 르노 셰르파 , 카이만
V-150, BTR-40, SPW-40Chs, BMR-600, Tiger Kader-120,
Fhad 240 RG-32 스카웃, RG-33, 시 피르 , 인터네셔널 맥스프로,
궤도장갑차 : M113A2, BMP-1, BTR-50(PK/PKM), EIFVM, YPR-765 P
▼ Pegaso 3560 BMR -600
이집트 파트 장갑차
OT-64 SKOT
V-150
EIFVM- M -113
YPR-765 장갑차 (네덜란드)
M109 -A2/ A3
D-30 SPH) 122mm
M110-A2 자주포 포탑은 없는 오픈탑 형태 국내에서는 퇴역
ZSU-57-2 57mm
ZSU- 23-4 대공포
RM -51
9k-31 스트랠라 지대공 미사일
SA-75
SA-2
9 K -330 지대공 미사일
S-300 방공미사일
소형 차량 : 험비, 메르세데스-벤츠 G클래스, M151, 지프CJ37
트럭 차량 : 오시코시 HET, HEMTT, M35, M939, M54,
피카소 3046, MAZ-543, ZiL-131 · 135, KrAZ-6322 · 255,
스카니아 SBA1 , 우랄-4320 · 375D · 5323,
FAP 2228 , 2026 , 1118, GAZ-66, ▼ M-151
HEMTT 미국 오시코시트럭
MAZ-543 러시아 대형 트럭 : MAZ-543 대형트럭 은 1950년대 구소련의 민스크 자동차 공업이 개발한 다목적 고기동
트럭이다.1959년 민스크자동차공업이 개발한 다축식 특별용도용 대형트럭인 MAZ-543은 537형 트랙터에 이어 개발된
야지횡단능력이 뛰어난 고기동 트럭으로 다양한 대형 물자를 적재하고 사막이나 산악지대, 북극 툰트라지방이나 열대
지방등 다양한 지형에서 운용이 가능한 트럭입니다.
스카니아 트럭
유탄발사기 : 마아디 , GL M79, Mk.19 고속유탄기관총
대전차화기 : 휴 대 형 : M72 LAW, M47 드래곤, RPG-7
거 치 형 : MILAN 2 , BGM-71D, TOW II, AT-1
AT-2, AT-3, AT-5, AT-13, HJ-8.
무 반 동 총 : M40 무반동포, SPG-9, B-10, B-11
박 격 포 : M-43, 2B11 Sani, 헬완 UK-2, M240 M224, M30, M252
맨 패 즈 : Sakr Eye, 이글라, ▼ 스팅어 지대공미사일(미국)
M-72 LAW 휴대용 미사일
소 총 : AK-47, 마아디, AR70/90, M16, CAR-15
권 총 : SG552, SIG516, CZ-805/807, 베레타 ARX-160, TT-33
저격 소총 : SVD, PSG1, AWM, M40A3, SSG 3000, M82
기관 단총 : MP5, UMP, MP , 헬완, 헬완 920
경" 기 관총 : FN 미니미, N MAG, RPK, R PD, PK/PKM/PKMS, M60E4
중" 기 관총 : DShK, NSV, KPV, M2HB, M134 미니건, GAU-19 ▼ SG-43
DSHK
NSV
KPV 14.5 mm 고사기관총 , 장성택을 총살했다던 기관총이 바로 14.5mm 이놈입니다.
M2HB 구경 12.7 mm 우리 군에서 부르는 소위캐리바 50
M143
GAU
KA-52 : 50 대
AH-64 : 36 대
이집트해군 함선 계 319 척, 병력 : 18,000명, 해군항공기 : 21대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 4척 / 4,100,
녹 스 급 : 2 척 / 4,260톤급, FREMM급 : 1척 6,000 톤, 2,000톤급 지앙후급 : 2척,
초계함 1,000급 : 2척 Descubierta급, 만 재 : 1,482
고윈드급 : 4척, 만재 : 1,450 톤, 포 항 급 : 1척 1,220톤
잠수함 로미오급 : 4척 2,800 톤, 레이더, 소나, 전투 정보체계의
현대화 하푼대함 미사일과 NT37 어뢰를 발사할 수 있게
개량한 209 급 1400 톤급 : 4척 (2021년 까지 도입완료)
FREMM에는 총32셀 규모로 2종류의 SYLVER VLS를 장비합니다. SYLVER A43 VLS 16셀과 과 SYLVER A70 VLS 16셀이 바로
그것입니다. SYLVER A43 길이가 짧아 사거리 30Km의 Aster 15급만 함대공 미사일 장착만이 가능한 VLS이고, SYLVER A70은
사거리 100Km이상급인 Aster 30급 함대공 미사일을 비롯 사거리 1,000Km로 미국에 토마호크급인 MdCN ( SCALP Naval)
함대지 순항미사일 까지 장착이 가능한 VLS입니다. 애초 각기 길이가 다른 5가지 모델을 계획했던 SYLVER VLS. 현재는A43, A50,
A70 3가지 개발모델이 존재합니다. FREMM 에는 함대방공을 위해 최대 사거리가 각각 30Km,100Km인 범유럽 함대공 미사일인
Aster 15, Aster 30 미사일 2가지를 운영합니다. ▼ FREMM 함
올리버 헤자드급 : 4 척
현재 이집트는 2척(1010 가말 압델 나세르, 1020 안와르 사다트)의 미스트랄급을 도입해서 운용 중이다. 하지만 이들은 애초에 러시아
가 도입하기로 발주했던 물량이어서 이집트로 오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마치 소련 붕괴로 인한 냉전의 종식과 이후 나락까지 떨어
졌던러시아가 경제 성장에 힘입어 대외 팽창에 나서면서 시작된 신냉전의 도래를 함축적으로 담고 있는 모습이다.
2011년 러시아와 프랑스는 최초 2척을 생 나자르에서 건조하고 추가 2척은 러시아 현지에서 제작하는 조건으로 총 4척의 미스트랄급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전 자, 통신 장비와 무장은 러시아제로 장착될 예정이고 Ka-52 헬리콥터의 운용을 위해 격납고의 설계가 바뀌
었으며 북극해에서 작전을 염두에 두고 선수가 쇄빙선에 버금갈 정도로 강화되었다. 이 때문에 배수량이 1300톤가량 늘어났다.
더구나 프랑스에서 건조될 2척은 영토 분쟁 중인 일본 견제를 위해 태평양 함대에 배치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2014년에 러시아가 유로
마이단 사태에 깊숙이 개입하고 크림 반도를 강제 합병하면서 서방과의 관계가 급속히 악화되었다. 결국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의
압력으로 프랑스는 2015년 10억 달러의 보상금을 지불하고 선체의 인도를 거부했다.이때 앞날이 불분명한 2척을 이집트가 구매했다.
선체는 프랑스에서 완공하고 무장과 장비는 애초 예정대로 러시아제를 채용하기로 해서 의심을 받기도 했지만 러시아에 재인도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거래가 성사된 것으로 알려진다. 제 작 사 : DCN 조선소, 아틀랑 티크 조선소
배 수 량 : 21,300톤, 전 장 : 199m, 선 폭 : 32m, 흘 수 : 6.3m
추진기관 : 3 × 6.2MW 디젤발전기, 1 × 3MW 보조디젤발전기
2 × 7MW 아지무스 포드, 2 × 5엽 프로펠러
속 력 : 18.8노트 항속거리: 10,700해리(15노트 순항 시)
무 장 : 2 × 미스트랄 대공미사일, 2 × 20mm 기관포FBNW)
2 × M134 7.62×51mm , 미니건 4 × M2-HB 12.7mm
적재능력 : 함재 기 NH-90, AS532, AS365N, SA341, S A342, EC665 등 16~35대
차 량 : 르끌레르 MBT 40대 또는 르끌레르 MBT 13대+차량 46대
상 륙 정 : CTM급 4척, EDA-R급 1척 / 병 력 : 45일 작전 기준 450명, 최대 900명
AH-64d 와 KA-52 를 함계 운용하는 이집트 해군 ( 미스트랄 함상 )
장후이 급 2,000 톤급
아키덴급 : 1척
독일 킬사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 조선소에서 이집트 해군 HDW 209/1400 모드급 잠수함 두번째 명명식 열였다고 합니다.
첫번째 함 S41은 작년 12월 명명식 가졌고 이날 이집트 해군 인계됐다 하네요. S41과 S42는 이집트 해군 잠수함 4척 중 2척
인데요. 첫번째 잠수함 건조가 시작된 이후 건조 프로그램은 예정대로 진행되고 있고요.S42 명명식은 S41 인도식으로 중요한
이 정표를달성했다고합니다. 2021년까지 209급 4척 획득.
현재 로미오급 : 4척 ( 중국4척 ) 209급 2척 6척을 운용으로 하는겄으로 보임니다. ▼209 급 1400톤급
1950년대 독일 U보트를 이리저리뜯어본 소련이 로미오급을 설계 ▶ 중러 관계가 개판 나기 전에 중국이 데이터 패키지 받음
▶ 중국 TYPE 033 건조 ▶ 1966-1969 이집트가 소련에서 로미오급 6척 획득 ▶1982-1984 이집트가 중국에서 TYPE 033(ES5A)
4척 획득<중국의 개량으로 원본 로미오보다 20db 소음절감 등 성능개량된 버전> 그 와중에 이집트는 미국과 관계개선 ▶ 1988
년 미국의 지원으로 워싱턴 주 타코마사에서 개수받음(어뢰발사관 발사 하푼, Mk.37 Mod 1 유선유도어뢰, 능동/수동소나 교체)
소련제2척 중국제 4척 1993년에 개수완료 ▶ 이집트 해군은 이 시점에서 25년 뒤에도 로미오급을 굴릴 계획은 아니었을겄이다.
그러나 영국에서 퇴역한 포르포이스급을 개수해서 사오려던 계획이 박살. 1991년 사오려던 애들래이, 스크랩 처리됨 ▶ 1994년
미 국무부가 FMS 방식으로 209급을 공급하려는 계획이 있었음. 미국에서 일정부분 건조되어야 한다고 해서 또 무산 ▶ 2011년
마침내 209급 1400을 티센크루프에서 사오기로 결정 ▶ 2015년 2척 획득, 2021년까지 도합 4척 획득 예정 ▶ 소련제 2척 퇴역.
이집트는 2019년 현재 로미오급을 굴리는 2 나라 중 하나임. 이 구닥다리를 굴리는 다른나라는 어디냐고? 북한. 이집트의 복잡한
현대사만큼 이집트 로미오급도 파란만장함. 남은중국제 4척은, 209급 다들어오면 퇴역시킬 예정. ▼ 중국로미오 (033) 급 4척
지난 7일 IHS Jane에 의하면 이집트는 2,500톤급 고윈드 코르벳함 2번함을 진수했다고 보도했는데요. 이 함정은 획득순서는 2번함
이지만 이집트에서는 건조한 1번함으로 , 함 진수는 알렉산드리아 조선소에서 지난 6일 있었는데 내년 초부터 해상시험 평가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집트는 2024년 7월 프랑스 DCNS사와 고윈드 2500급 코르벳함 4척 도입계약을 체결한바 있었는데요.
1번함 엘 파테함은 프랑스 DCNS사가 로리앙 조선소에서 건조했는데, 2번함~4번함까지는 DCNS사가 기술이전을 해 이집트에서
건조하는 조건이었다고, 고윈드 2500급 코르벳함은 DCNS가 소형이나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수 있는 수상함을 원하는국제적 요구에
맞춰 개발해 말레이시아해군의 연안전투함 프로그램으로, 채택된 함정 길이를 102m로 늘린 선체확장형 파생 모델이라고 함니다.
DCNS사가 개발한 전략적 에너지 기술정보 시스템과 탈레스사 감지장치가 적용된 SMART-S Mk3 3차원 정찰레이더, Vigile200
Mk3 전자 전지원시스템, STIR Eo Mk2 무선/전자광학 추적기, CAPTAS-2 저주파 능동소나, 킹클립, 선체장착 소나 등 통합된
전투관리 시스템을 장착했는데요 . 파노라마 센서 및 정보 모듈로 부르는 PSIM은 SMART-S Mk2와 Vigile 200 Mk3 전자 전지원
시스템 감지장치로 구성된 수상전 전투관리시스템인 SETIS CMS를 구성한다고 하네요. PSIM는 프랑스가 로리앙에서 제작,시험
평가를 마친 후 이집트로 보냈고 알렉산드리아 조선소에서 자체건조한 함정에 탑재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집트 해군 Ambassador Mk.III급 (500톤)
1 x 76mm 함포, 1 x 21연장, 1 x 20mm CIWS
2 x 7.62mm 기관총, 8 x 하푼 대함미사일
이집트 해군이 독일에서 도입한 Type 148 Tiger급 고속공격정 2척이 지난 5월 26일 프랑스 해군의 Toulon항을 방문했다.이 초계정
은 지난 2002년 독일 해군이 퇴역시키면서 이집트해군에 양도한 5척중 일부로 기존에 장착했던 함대함미사일등은 제거하고 함포만을
장착하여 해상 초계용으로 운용하고 있다. 함령이 40년이상된 노후한 함정이다. 참고로 이집트가 도입한 초계정들에 부여된 명칭은
특이하게도 날짜로 된 이름을 가지는데 내역은 다음과 같다. 함명과 함번 순이다. 18 June 604, 21 October 603, 23 July 601, 25
April 605, 6 October 602 왜 이런 이름이 부여됐는지는 알 수 없다.
제 원 길 이 : 47m 전 폭 : 7 m , 홀 수 : 2.7m , 승조원 : 30명
배수량 : 265 T 엔 진 : 4 MTU MD 16V 538 TB90 터보디젤엔진,
총출력 : 8800kW 4 축 : 4개 propeller
최대속도 : 36kts 항속거리 : 570 nm at 30kts, 1600nm at 15kts
센 서 : SMA 3RM 20 항법레이더, Triton G 수색레이더, CASTOR II 사격통제레이더
통신장비 : Link 11 대응장비 : Decoy와 flare 발사기, Electronic 대웅장비
무 장 : OTO Melara 76mm 함포 1문, Bofors 40mm 기관포 1문
MM38 Exocet 대함미사일 발사기 4기
해상용 기뢰 8발을 장착할 경우 Bofors 기관포를 대체
1957년에 설계가 끝난 205형은 강력한 대함 무장과 추진체계를 갖추어 후에 개발되는 프로젝트 206형 어뢰정의 모태가 되기도 하였다.
프로젝트 205형은 세베로드빈스크 조선소와 36번 레닌그라드 프리모르스트 조선소, 그리고 블라디보스톡 달 조선소등 3개조선소에서
건조가 진행되어 1973년까지 160척이 건조되었고, 중국에선 자체적으로 120척이 건조되었다. 1961년에는 KT-67 원통형 발사기를
갖춘 프로젝트 205U형(나토 코드 : 오사 II)이 개발되었다.
무 장 : P-15 Termit (NATO 암호명 SS-N-2 "Styx") 미사일체계는 4개의 발사기에 격납되어 있으며, MR-331 Rangout (NATO
암호명"Square Tie") 레이더와 Nikhrom-RRM ESM/IFF (NATO 암호명 High Hall) ESM/피아식별장치의 도움을 받아 표적을
획득하여 발사된다. 표적이 레이더 전파를 방사 한다면 수평선 너머의 표적도 획득 가능하다. 날개를 접을 수 있는 P-15U가 개발
되면서 보다 작은 원통형의 KT-67 발사기를 가진 프로젝트 205U형이 개발되었다.
MR-104 리스(나토 코드 : 드럼 틸트) 사격통제 레이더와 연동된 2문의 AK-230 30mm 기관포를 선수와 선미에 배치하였다.
AK-230은 무인 기관표이며 해상 표적에 대한 공격도 가능하다 . 개량된 Project 205U (Osa II) 의 일부는 4연장 9K32 Strela-2
(NATO: SA-N-5 "Grail") 함대공 미사일 발사기와 미사일 16발을 탑재해 대공무장을 더욱 강화하였다.
이집트 공군 2018년 기준 병력: 18,000
비치크래프트 1900C ELINT : 2기 미국, EC-130H EW/ELINT(전자 정찰) : 2기 미
E-2C HE 2K 호크 AE조기 경보기 : 7 기 자체개량
Mi-8MV EW(전자전) 헬기 4기 소련, WS-61 시킹 코만도 Mk.2E EW(전자전) 헬기 : 4기
이집트 공군의 전투기 4.5세대 → 라팔 : 28대 프랑스, SU-35 : 20대 러시아
4세대전투 MiG-29M : 46 기, F-16C /D : 176기 (40년) F-16A/B : 32 기 (50년 )
미라주 2000 BMOCU : 3 기, 2000 BM : 15 기
2세대 폐품수준 J-7 요격기 : 30 , 미라주V SDE : 36 기 , 미라주VDDR : 6기
미라주 VE : 12 기, MiG-21 PFM : 40기, SU -35 : 20대 ↓
이집트 공군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지휘 통제소를 통해 여러 나라에서 만든 기종의 항공기를 운용함에도 불구하고 데이터를 공유하고
운용 제어를 할 수 있다고 한다. 미국에서 만든 E-2C Hawkeye 2000 조기 경보기가 러시아에서 만든 Mig-29 전투기와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은 불가하며 이는 미국에서 만든 F-16 전투기가 프랑스에서 만든 Rafale 전투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없는 것도 마찬
가지이다. 그러나 이집트 공군은 “RISC2”로 불리는 전용의 시스템을 지휘 통제 센터가 갖추고 있어 이를 통해 다양한 레이다, 항공기
센서 그리고 정찰 및 전자전 시스템을 연결하고 정보를 통합하며 항공기 간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레이다 통합과 감시 지휘 센터는
이집트 군의 연구개발 부서 에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RISC2”는 2018 이집트 방산 엑스포 (EDEX : Egypt Defence Expo)에서 소개되었으며, 이 플랫폼은 비행 계획,레이다와 다양한
센서 (미국 모델을 포함하여 러시아, 중국, 프랑스, 영국 및 이집트 모델) 모니터링, 자동 비행 추적 시스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그리고 사이버 보안 도구가 포함되어 있다. 항공기간 연결 외에도 육상 및 해상 전투 플랫폼과도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고 한다.
이 시스템을 통해 이집트의 방공시스템이 적군 항공기와 아군 항공기를 구분하는 데 있어 어떤 문제도 없었다고 한다.
이집트 군에서 사용하는 여러 회사에서 만든 다양한 IFF(Identification Friend or Foe)는 모든 시스템 및 장비와 호환되도록
설계되었으므로 특정 주파수와 코드를 통해 우군과 적군을 구분할 수 있다. 각기다른 나라에서 만든 전투기와의 데이터 공유를 위해
Rafale 전투기는 Link-16 뿐만 아니라 비 NATO 국가의 데이터 링크 솔루션을 탑재함으로써 최신의 러시아 전투기와 조화롭게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2019년 11월에 발사된 이집트의 TIBA-1 통신 위성은 공군 전투기와 다른 나라에서 만든 헬리콥터간의
데이터 공유를 가능케 할 것이라고 한다. ▼ Rafale - 28 기
F-16A/B : 32, F-16 C : 139 기, F-16 D : 37 ( F16C/D 는 터키/ 미국)
MIG-29 : 46 러시아
4세대 = 미라주 2000ocu : 3기 2000 : 15 기 ※ 18기 ( 이라크기체 )
2세대 = 미라주Vsde : 36 기 DDR 정찰기 : 6 VE -12 기 ※ 52기
SU-22피트 F 이집트와 동일기체 (폴란드 기체)
MIG-21 PEM : 40 기
J -7 : 30
AN-2
호커헌터
TU-16 : 30 대
E-2C HE2K 호크 AEW(조기경보기) : 7 기 자체적으로 개량한기체
AN 12 : 8 EA
IL74
IL76Il-76은 이후에도 지속적인 개량과 업그레이드가 가해져 연료 탑재량과 날개 길이, 항속거리를 늘린 IL-76T, 신형 D-30KII-1
엔진을 채택하고, 연료량을 10톤 이상 늘려 항속거리를 1,200km 이상 증가시킨 Il-76TII, 소련군의 요구도를 반영하여 적재중량을
47톤으로 늘린 Il-76M 등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었다. Il-76 시리즈는 3.4m x 24.5m에 달하는 대형 화물 적재공간을 갖추고 있는
데다 적재중량은 40톤이 넘고, 이착륙 거리도 짧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대형 수송기 중에서는 세계에서 가장많이 팔린 항공기에
속한다. 특히 넉넉한 공간의 장점때문에 90년대 이후까지도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됐으며, 화재 진압을 목적으로 한 수폭기
(waterbomber)부터 공중 조기경보통제기(AEW&C: Airborne Early Warning & Control Aircraft), 전자정보 수집기, 통신
중계기, 무중력 훈련기, 이동식 병원기 등의 파생형이 개발됐다.
러시아는 2010년부터 Il-76을 현대화시킨 Il-76MD-90A (설계단계에서는 Il-476으로 명명) 개발을 시작한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최초 생산업체인 타슈켄트 항공의 지원을 받아 러시아의 아비아스타(Aviastar)의 시설에서 생산하겠다고 선언했다. 러시아군은
업체와 총 39대 양산계약을 체결했으며, 2014년 6월에 Il-76MD-90A의 초도기가 출고되었다. 양산기는 2015년 4월부터 실전배치
가,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 중인 것으로 봐 첫 등장으로부터 4 7년이 넘었음에도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각광받는 수송기의 위상을
한동안 더 지켜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북대서양 조약기구에서 부여한 식별명칭인 “캔디드(Candid)”로 잘 알려진 Il-76 시리즈는
공정강하부대 수송, 병력 수송 뿐 아니라 개인 장비부터 전차까지 수송할 수 있는 다목적 전략 수송기이다.
C-295
C-27 : 2 ]
MI-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