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군사력 랭킹 65위( 2022년 )
면 적 : 1,104,300 ㎦, 인 구 : 105,350,020 명, 수 도 : 아디스아바바
공용언어 : 암하라어, 영어, 지역 언어 : 아파르어,
하라리어, 오로모어
종 교 : 테와히도 정교회 (43.5%) / 개신교 (18.6% /
이슬람교 (33.9%/ 토착 신앙 (2.6%)
민족구성 : 오로모인 (34.5%), 암하라인 (26.9%),
티그리냐인 (6.2%), 소말리인 (6.1%)
국가형태 : 에티오피아 연방군 연방주 9개 2개 (특별시)
정 치 : 공화국, 의원내각제 , 양원제 , 연방제
명목GDP : $911억 (2019년), 공식 화폐 : 비(ETB),
육 군 : 13만 8000여명, 공수부대 : 3000명, 공 군 : 3,500 계 : 144,500 명
전 차 : T-72 , T-54, T-62 : 총 700대. T-72UA1 : 200대 도입
장 갑 차 : 800대, 자주포 : 85대, 견인포 : 700대, 로캣포 : 183대
미 사 일 : 탄도미사일 40기 , 갈로시 미사일 : 130기 확인되지안읍니다.
내륙국가. 북부 에르트레아가 독립하면서 내륙국가로 전락 하였읍니다.
공군전투기가 54대 3개 대대가 못되는공군력이다. 6,25사변 에 3,500명의 왕실군대
(강-뉴부대)를 파견지원하였다. 첨단무기 는 없으나 병력수에 비해 육군의
전력은 강한 편이다. 아래의 노병는 6.25 사변에 참전 했던 에티오피아
참전용사 의 모습 , 우리는 그들의 피땀 과 눈물을 잊져서는 안될겄이다.
T-72 계열 : 700대
T-72UA1 : 200 대 추가 도입 (우크라이나 )
T-62
T-54/55
에티오피아 육군 퍼레이드
BMP-1 외 각종 장갑차 약 800대 를 굴리고있다.
YW-534 / TYPE-89 병력 수송 장갑차 (중국)
BTR-60
WZ- 523 / TYPE -05
M109A1 - 155mm 자주포 : 53 문 ( 합계 85문 )
2S19 Msta-152mmSPH : 12
2S5 -152mm : 10
2S1- 122mm : 10문
M-46 130mm : 138문
M-30 122mm : 100
D-30 122mm : 250문
M101 - 105mm : 52 문
M-56 105mm :???
120mm 박격포
RP-46 12.7mm기관총
ZPU 14.5mm 기관총
ZSU -23-4 14.5 mm쉴카 대공포
Oerlikon -20mAAG
Bofobrs- 40mm 대공포
ZSU-57-2 : 10 문 57mm 대공포
BM-21 122 mm MLRS : 158문 ( 계 183 문 ) ▼ 63식 : 25 문
AT-3 새거
AT-4
AT-14 Kornet-E ATGMLauncher 80 ( 러시아 )
BGM71-AC TOWATGM : 22기
QLZ -87 35X 32mm AGL ( 차이나 ) 유탄 발사기
M- 72 Law Light ATRLs ( 미국 ) 66mm
RPG - 7
RPG-18
M-79 유탄발사기
AK-47 소총
PKM 소총
VZ-58 소총
AK-103 소총
SA-2 는 1957년 개발되어 베트남전에 투입돼 북베트남을 폭격하던 미군 전투기들을 잇따라 격추시켜 미군에게 공포의 대상이 됐다.
반면 전투기와 조종사를 보호하기 위한 전자전 기술의 발달을 촉진시키고, 대공레이더와 미사일 기지를 파괴하는 ‘와일드위즐’ 무기를
등장하게 하는 배경이 되기도 했다. 1960년 구소련을 정찰하던 미국의 U-2 정찰기를 격추해 SR-71 초음속정찰기를 개발하게 하는
원인을 제공했다. 1970년대 중동전쟁 당시에도 이스라엘 공군은 SA-2의 위협을우려해 저공비행을 시도하다, 대공화기의 공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2000년대에도 유고 내전 등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다만 개발된지 오래되어 노후화가 심해짐에 따라 대부분의국가에서
는 퇴역한 상태이다. 반면북한은 2012년 후방에 있던 SA-2를 휴전선 인근으로 전진 배치하는 등 일선에서 사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유효사거리는 45km이며, 고도는 20Km이다. SA-2
SA-3 ▶ SA-2와는 다른저고도 지대공미사일이다. 사거리는 40km로 전파교란에 강하다. 지난달 21일 북한군이 서해 일대에서 실시한
서북도서 공격훈련에 모습을 드러내 모의표적을 격파했다.SA-5 지대공미사일은 사거리가 250km, 함께운용되는 레이더의 탐지범위는
270km에 달는 것으로 추정된다. 구소련이 핵폭격기를 요격하기 위해 개발한 미사일로 북한은 2013년 후방에 있던 SA-5를 황해도 등
전방으로 이동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북한은 SA-3를 평양과 주요 공업지역에, SA-2/5를 휴전선 인접지역에 주로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러시아의 최신 지대공미사일인 S-300을 기반으로 KN-06 미사일을 개발해 2010년 공개하고, 2011년 6월 시험발사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국제사회의 제재로 최신 전투기를 구매하기 어렵고, 기존의 전투기들은 노후화가 심해 실제로 작전에
투입할 수 있는 항공기가 많지 않다. 따라서 지대공미사일 전력을 강화해 영공을 방어하는 ‘고슴도치’ 전략을 구사하는 것으로 전문가들
은 분석하고 있다. SA-3
SA-4
SA-6 ▶ : SA-6는 발사 후 약 4.1초 이내에 마하 1.5까지 가속할 수 있으며 발사체가 분리된 이후에는 중앙 동체 날개 앞부분 4개의
공기 흡입구를 통해 램제트 방식으로 마하 2.8까지 가속할 수 있다. SA-6는 목표 추적과정에서 최대 15G로 기동할 수 있으며 미사일
자체는 20G까지 견딜 수 있도록 설계돼 있어 현존하는 전투기 중 SA-6의 추적을 따돌릴 수 있는 기체는 사실상 없다.
SA-6는 유효탐색거리 150km급 롱 트럭 경계·목표탐색용 레이더로 일단 표적을 식별한이후 스트레이트 플래시 목표탐색·추적 레이더
의 유도로 목표를 공격하는 지휘 및 반능동 레이더 유도 방식이다. 스트레이트 플래시 목표탐색·추적 레이더는 유효 탐색거리 90km
급으로 최대사정거리 25km의 SA-6를 유도하는 데는 전혀 문제가 없다.중동전 당시 시리아와 이집트에 배치된 SA-6는 ZSU-23-4 자주
대공포와 함께 이스라엘 공군에 가장 큰 피해를 입혔는데 95발의 SA-6가 발사돼 64기의 이스라엘 공군 전투기가 피격된 것으로 알려
지고 있다 이후 25개 국가에 대량으로 수출됐으며 중동지역 분쟁은 물론 91년 걸프전과 2003년 이라크전쟁에서도 사용됐다.
현재도 일선에서 다양한 파생형이 운용되고 있는 SA-6는 지금도 가장 강력한 근거리 지대공미사일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비록적성
국가의 무기이긴 하나 SA-6를 눈여겨봐야 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SA-9 Gaskin 체계 ▶ 러시아의 기동형 대공포 연대와 전차 연대에 배치하여 운용되며, 각각의 연대는 4대의 SA-9체계를 운용하는
16개의 포대로 구성되어 있다. SA-9 체계는 또한 4대의 발사차량과 4문의 ZSU-23-4 대공포 체계를 운용하는 러시아 해군소속의
여단 및 연대급 부대에 배치되어 있고, 체계들은 함상에 설치되어 운용되며, 상륙 작전시에는 방공작전을 지원한다. 러시아 해병대
소속의 SA-9 체계는 현재 SA-13 체계로 대체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구 소련 육군에 소속된 SA-9 부대의 BTR 60PU-12 지휘차량은
사단급 방공연대의 지휘소로부터 전송되는 표적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되는 첩보는 육안 관측망이나 SA-9A Flat Box 이동발사대
(TEL)에 의해 탐지되어 전송되는 제원과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된다. 조장은 표적과 교전할 발사차량을 지정해서 교전을 지시하고,
지정된 차량은 장착된 관성항법장치(INS)를 사용해서 미리 지정된 사격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운용 체계 ▶ 조장은 지정된 발사지점과 기동형 발사장비(SPU)의 위장지역에 관한 제원을 장입한 후, 관성항법장치(INS)에 의해
계산된 방위각과 거리제원을 판단하고, 사격요원은 산출된 방위각으로 포탑을 수동으로 조정한 후에 발사대의 고각을 조정한다.
이어서 유도탄을선택한 후에 포탑에 설치된 광학 조준기를 통해서 항적을 포착한다. 일단 표적이 포착되면 사격요원은 발사 스위치
를 1단계에 위치시킨다. 이때 유도탄 발사대의 컨테이너 덮개가 열리게 되며 적외선 추적기가 개방된다.
적외선 추 적기에 의한 포착이 이루어지면 신호음이 포탑에서 울리게 되며, 이때 사격요원은 발사스위치를 마지막 단계에 위치시킴
으로써 유도탄을 발사하게 된다. 전시에는명중률을 높이기 위해서 하나의 표적당 2개의 유도탄을 5초 간격으로 발사한다. 재탑재는
수동으로 이루어지며 대량 5분이 소요된다.
공 군 : 병력은 약 3500 명
전 투 기 : MiG -21 : 18대, MiG-21U : 3대,
MiG - 22 : 8대, MIG-23UM : 4대
Su-25 : 6대 , Su-27 : 7대, Su-27SK : 8대, 총합 : 54대
수 송 기 : 42대
훈 련 기 : 14대
핼기 전력 : Mi-14PL : 2대, Mi-24 : 15대 , Mi-35 : 3대,
Mi-6 : 10대, Mi- 8 : 12대
▼ MIG-21 : 18 대, MIG 21U : 3 대
MIG-22 : 8대
MIG-23 : 4 대
SU -25 : 6
MIG-27 : 7 대
MIG-27 SK : 8대
C-130/BE : 2대 ( 미국)
ANTONOV AN-12 : 3 대 ( 러시아 )
ANTO NOV AN -32 : 1 (러시아 )
SF-260 : 4 대 (이탈리아 )
L-39 : 10대 ( 체코 )
MI : 24 HIND : 15 기
Mi -35 하보크 공격 헬기 : 3대
전 장 : 17.1m, 전 고 : 4.7m, 자체중량 : 8,600kg, 최대이륙중량 : 11,500kg
엔 진 : KIIMOV TV3-117VMA 터보샤프트 (2,500shp) × 2
최대 속도 : 320km/ : 실용상승한도 : 5,700m 이 상 최대항속거리 : 1,100km
승 무 원 : 2명/ 무장병력 : 3명
무 장 : 30mm 2A42 기관포 (1,470발 ) 23mm Gsh-23L 건포드, S-8 로켓포드 , S-13 로켓포드,
9M 120 Ataka-V 대전차 미사일 하드포인트 4개소 항전장비 : FLI,
HUD헬멧마운트디스플레이 HM, RWR IR센서,
Mi-28은 Mi-24를 제작한 밀사가 자체 개발한 공격헬기로, Mi-24의 병력수송능력을 축소한 대신 공격능력을 강화했다. 1980년부터
개발을 시작하여, 1981년 모형 제작을 결정한 후 1982년 10월 10일 첫 시제기가 비행에 성공했다.
그러나 1984년 10월 구소련 공군은 대전차 공격헬기로 카모프사의 Ka-50을 결정했다. 이후 밀사에서는 Mi-28의 자체개발을 계속
하고, 1989년 6월 파리 에어쇼에서 최초로 서방세계에 공개했다. 구소련이 붕괴하고 러시아로 바뀌면서, 구소련 당시 대전차 공격
헬기로 결정된 Ka-50 공격헬기는 활용도가 많이 떨어졌다. 결국 2003년 러시아 공군은 기존의 결정을 뒤집고 Mi-28N을 러시아
공군의 표준 공격헬기로 결정한다. 2006년 양산 1호기가 러시아 공군에 배치되었다.
특 징 : Mi-24가 공격 헬기와 범용헬기의 중간 성격을 보인 반면, Mi-28은 본격적인 공격헬기로 개발되었다. 구소련군은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겪으면서 공격헬기에 대한운용 사상이 바뀌게 되었다. 그러나 공격전용 헬기임에도 불구하고 유사시 2~3명
을 기체 내부에 태울 수 있도록 설계했다. 이 공간은 적지에 추락한 조종사나 특수부대 요원들을 수송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또한 Mi-24와 공통성을 추구해 정비 및 정비보급을 용이하게 설계했다. 콕핏의 경우 7.62mm 기관총이나 12.7mm 기관포에도
견딜 수 있도록 장갑으로 강화하고 헬멧 조준장치를 채용해 조종사의 업무 부담을 줄였다
▼ M-35 하보크 공격핼기 : 3대
MI-6 : 10 대
MI-8 : 14 대 ( 러시아 )
MI-14 PL : 2 대 ( 기체는 폴란드기체 )
알루엣 III : 3 대 ( 프랑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