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월15일, 서울역버스 환승정류장에서07시15분 5005 버스로 용인 터미날 도착 07시 55분, 시내 버스로 배티마을 이현리에 하차하니 08시 45분 되었더이다. 겨울철 농한기에다. 학생들 방학중이라,그런지 너무 조용한겄이 예전 농촌모습은 아닌겄같아조금은 의아함 마저 들더이다. 이젠 농촌이기전에 산업단지다. 논공 단지이다 .하여 옛 우리내 농촌 모습도 보기가 어려워져, 세월이 흐르고 있음을 증명하고있는듯하여 씁쓸한 느낌마저 들더이다. 45번 국도 이현리 버스정류장 하차
배티고개 옆에있는 주유소 세방전지 우측 담을 끼고 올라섰으나 정문에서 왼 으로 진행하는 겄이 더좋을듯 여기서 독도 실수로 20분 정도 알바, 등산로에 잡목을 벌채하여방치하는 바람에 등산로를 찾는 다는계 용이치가 안더이다. 아마도 이곳에도 둘레길을 만드는지?임도정도의넓이만큼, 벌목 및 벌췌 표시를 헤두었더이다. 벌췌된 나무 때문에하기에도 상당한 곤역을 치루었내요.
좌측으로는 공장단지가 보이고 우측으로는 활궁장이 보임니다
천덕산 정상바로및, 정상에는 군부대가 주둔 하고있어 좌측으로 돌아야 합니다. 정상 바로및에서 돌아본 322봉 민간인 통제를 위해 아마 지뢰를 매설 해던 지역인가봅디다. 지금은 제거 했으나 완전히 제거 하지는 못한듯? 항상 지뢰 지역은 정상적인 등로로만 진행하세여..
천덕산 322.3봉 정상에 있는 군부대 부대앞 도로(군사도로) 을 따라 계속 진행해 우측 4m정도 높이에 있는핼기장을 지나 만세고개 삼거리 까지네려옴니다
만세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여 팬스 끝나는 지점에 옆으로 다시올라 섭니다. 220봉 용도를 알수없는 철망
백련봉정상에서 내려선지 49분 2번 국도
성은리 23도로와 연결되는 2번 도로 힁단하여 다시 산 능선으로 오라 서야합니다. 절개지 출입금지표시 가족 묘지인지 어느세도가의 묘지인지는 몰라도 제법 규모가있는 묘지군을 지나 6분 정도 진행하면 평택 안성간 고속 구도가 나옴니다. 진행방향으로 보이는 고속 국도는 안성으로 가계됨니다. 고속 국도옆 포장 농로
고속 도로 힁단 굴다리, 이곳을 통과하면333번 국도나옴니다. 진행방향 오른족 택으로 연결되는 고속 국도 굴다리 통괴48분 ,평택시 상리 마을 버스 종점 / 금일중 배차된 버스는 없다고 하드라고여, 워쪄 별수있나여 텍시로 평택역까지이동 요금이 생각 했던겄보단 적계 나오드라구요.일만냥.. 마을 버스 정류장에 있는 너와 지붕의 사각 정자 그래도 옛방식대로 짜맛춤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