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둘레길/중랑천을 따라서

뚝섬공원 에서 중량교까지

 2013년8월15일  광복절 유난히 긴 금년장마에 휴가가 늦어진겄인지,??   온통 거리가 횅하다. 본인이 하는일은 국경일과 무관하지만

역시 관객이  없으면 연극이나 쇼나 공연할 맛이나곘는가?  장사나  사업이나 관객과   고객이 있어야  될겄이아닌가? 중식을 하고  

뚝섬을  찻아 보기로 하고   2 호선 건대 입구에서  7호선으로 바꾸어타고 뚝섬역에 도착 한다. 그리고 보니 여기도  몇십년의  세월이 

흘러 간곳이 아닌가?   유구무언!!!  이곳에 언제 왔갔는지 기억에도 없다.                    뚝섬역에 내려서니 오후 2시40분

                              뚝섬역에 내려 2층 역사에서  우측 밖으로  보이는 자벌레 형상의 구조물           

                         

 

       

     

      자벌레가 어떻계 생겼는 지는  잘모른다. 아마 이구조물이 그형상을    대변 하리라  !! 원 통구조물안의  모습에서오늘의뚝섬을

      다시본다. 피서 멀리갈필요가  없을듯  엄청 시원하더이다.

 

 

 

 

 

 

                                             자벌레라  일컷는 원통 구조물 안의 이모 저모

 

 

  

 

 

                                                                 서체 이야기실에 전시된 나비 표본

 

 

 

 

 

 

 

 

 

                 거대한  인공구조물의 자벌레  그밑으로 피서를 즐기는 소풍객들

 

 

 

 

 

 

 

 

                               오늘의 뚝섬유원지

 

 

 

 

 

 

 

 

 

 

 

 

 

                   성수대교 방향으로 진행중   돌아본 뚝섬역 주변모습

 

 

 

 

 

 

 

 

 

 

 

 

 

 

           

            성수대교,  이다리가 붕괴되어 새로 놓아진지가  십년의 세월이흘러                     

                                        우리뇌리속에서 이제는 완전히 잊혀져버린  기억이 될듯하더이다.

 

 

 

 

 

 

 

 

 

                                용비교

 

 

 

 

 

 

 

 

 

 

 

 

 

 

                

외래종인 가시박 넝쿨,언제부터 이땅에 상륙하여 우리 생태계를  교란하는              지는 몰라도

 번식력과 자생력 하나만큼은 알아 주어야할듯........

 

 

 

 

 

                                     응봉역

 

 

 

 

 

                             뚝섬 살곳이다리

 

 

 

 

 

 

 

 

 

 

 

 

 

 

 

 

 

 

 

 

 

 

 

 

 

 

 

 

 

 

 

 

 

 

 

 

 

 

 

 

 

 

 

                  수락산에서 이어진  아차산 이 흰구름을 이고 있는 모습이

                  이제 가을이 멀지안은 듯한 느낌이 들계합니다. ......

 

 

 

 

 

                   중량천변에 있는수영장,  아리수 수도물로 운영되는

                   곳이니 수질 걱정 안해도 좋을듯

 

 

 

 

 

 

 

 

 

 

 

 

 

 

 

 

 

 

 

 

 

 

 

                      중량구 봉화산, 장마뒤개인 하늘밑으로  선명하계 닥아오내요.

                     봉 화산은  봉화대가 원형으로 복원대 옛 자취를 가늠할수있읍니다.

 

 

 

 

 

          중량교 지나   조금올라오면  중화동 으로가는   징검다리?     징검다리을 건너면 중량구 건너기전  동대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