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국 무 인 기
RQ-4B BLOCK-30 한국형글로벌호크
글로벌호크의 도입배경 : 강대국들은 스텔스무인기를 운용하거나 전력화를 앞둔상태이다. 미국의대표적인 최신고고도 무인
정찰기 RQ-180 를 개발운용중이며 중국도자체적인 무인스텔스 공격기인 리낸등을 개발해 곳 전력화를 앞두고있다.
러시아도 최신무인스탤스 정찰기 수호이570 옥토호니크(헌터)가 첫비행에 성공했다고 공식 발표하면서 한반도를 둘러싼
무인스텔스 전쟁이 가속화되고 있는상횡이다. 때문에 한국도 독자적 스텔스 무인기를 도입하면서 주변강대국에 비해뒤처진
무인정찰 감시능력을 보완한다는 계획으로 풀이된다. 우리의 독자적 스텔스 기술이 일정한 수준에 도달 했더라도 일 부
강대국만이 확보한 스텔스기술을 완벽하계 구현하고 무기체계에 구현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거라는 전망이 대다수
개발 자들의 견해이다.
글로벌호크는 (RQ-4)체계는 같은임무를 기준으로 U-2정찰기 세력에비해 연간2억2천만불 정도의비용이 절감된다고 합니다.
특히 2010년-2013년사이 글로벌호크의 유지비용은절반 이하로 급감해 2010년 RQ-4 시간당토탈 유지비용은 계약된 후속
군수 체계비용 2,500만불 을 포함해시간당 40,600불에 이른다고 합니다.
그러나 2013년중 토탈유지 비용이절반이하 인 18,900불로 떨어졌고 이후더하락해 11,000까지 떨어졌다고 합니다. 15년
운영할경우 도입가격의 3배가까운 24억 2900만불정도 소요된다고 합니다.
2019년까지 4대의 한국형(RQ-4BLOCK30) 글로벌 호크가 들어온다. 일본과 동일한 스팩으로,4대의 가격은 9억5천만 달러
이다. 스페어앤진2기 지상통제 장비2set와 수리 교육, 개량비용이 포함된 가격이라고한다.
아쉬운점은 통신감청 장비가 미국의기술 수출반대에 부딧처 배제 되었다는점이다. 운영은 한국독자 운영체계로 운영된다.
일본은 최신형Block40이나 미국과공동운영한다.
한국형은 미국의운영하는 블럭40에는 못미치는 스펙임에는 틀림없는 사실이다. 첨단장비는 항상한단계 다운레이드 하거나
수출통제하는 기존방식을 고집하는 형태이다. 일본역시도 그벽을 넘지못한 상태이다. 문제인 정부가 들어서며 한미동맹에
심각한 상황을 야기하는겄은 아닌지 심히염려된다..
RQ-4 Block40미국형 글로벌호크
글로벌 호크 : 정찰센서는ISS(IntegratedSensorSuite)라고 부르며, 레이시온 에서제작했다. 최근에는50%성능을 향상
시킨 Enhanced Integrated Sensor Suite(E-ISS)를 개발했다. CCD TV와 IR 센서를 통해서 탐지된 물체가 비핼기,
자동차, 미사일 인지의 여부를식별할수있다. SAR레이다는 3가지모드가 있다.
1. 0.3m 해상도Spot-Mode(가로x세로1m의 물체가 한개의 점으로표시된다)
2. 1m 해상도의 Wide Area Searchmode
3. 1m/s(7.5km /h또는 4km)의 최저속도를가진 이동물체를탐색하는
MovingTarget Indicatormode
1, 1대의글로벌 호크는 1m해상도인 WideAreaSerrch mode를 사용했을경우 24시 138,000km2 지역을 스캔할수있다.
2, 0.3m해상도인 Spot mode 사용하면 24시간 4평방킬로 미터지역을으된 사진 1900장(7,600km2)을 촬영 할수있다.
3, MovingTarget indicato rmode사용하면,1분에15,000km2의 지역을정찰 할수있다.
글로벌 호크의 전략적가치 : 글로벌 호크는 지상 20km상공에서 레이더와 적외선탐지 장비등을이용해 지상0.3m크기의
물체까지 식별할수있는 첩보위성 수준급 무인정찰기다. 노스럽그루먼사가 제작한 이정찰기의 비행
시간은 36-42시간 가능하다.
RQ-4b BLOCK 30 (한국형 )GLOBAL HAWK
길 이 : 14.5M, 기 폭 : 39.9 m, 높 이 : 4.7m ,
기 체중량 : 6781kg 이륙중량 : 14,628kg
운용 인원 : 3명 ( 무인기조옹 2명 , 센서-1명 )
앤 진 : 1x Rolls-RoyceF137-RR-100Turbofan-engine
순항속도 : 250km/h 최대속도 : 636km/h
임무시간 : 24-36시간 임무고도 : 19,500m
RQ-4 BLOCK앤진
북한의 방공자산에도 신경써야할 무인체계다. 아무리 정찰자산이 우수
해도 적의 반공자산에 취약하면 그자체가 무의미한 자산이될수도있다.
미국이 개발중이거나 실전배치된 최신예 스탤스 무인기 및 공격기
국 산 무 인 기
대표적인 우리나라 무인정찰기 RQ-101 thdrhfao 군단급 무인정찰기로 포병부대 정보수집임무
RQ-1송골메제원
개 발 1999년- 개발 20000년 실전 배치 : 2002년 , 중 량 : 215Kg,
최대이륙중량 : 290kg , 임무중량 : 50kg
열영상장비 : SU-1K / 비행추진 : 4엽의 터보 프롭앤진
동체 길이 : 4.8m 전폭 : 6m 최대속도 : 185kpm
순항 속도 : 120-150-kph 운용고도 : 4.5km
운용 반경 : 200km(중계기이용) 순항거리 : 1200km
체공 시간 : 6시간 개발 : 국방과학연구소, KAI우주항공사업부
송골매는 2009년 대화력 시범에서 일반에계 공계(승진훈련장 )
군단급 정찰용 항공무인 체게는 전방지역의 적 활동 정찰및 전장감시 를 수행하기위해 2000개발 완료하였고, 2002년에 실전
배치 되었다. 처음에는비조로 불리다가현재는 송골매로불리고있다.비행체는6대, 각종지상장비 들로 구성되는대 폭4,6m이며
중량은 290Kg이다. 각TV및 LIR등 감시장비들 동시탑재하고 있어 주야간으로 항상정보를 실시간 획득하여 전투상황및 이동
표적감시 탄착조정및 피해평가를 수행할수있다. 사전비행프로그램 입력에의한 자동비행이 가능하며 유사시 활주로가 파괴
되어도 임무 를'" 수행할수있게 이착륙이 가능하며 발사대발사 및 파리포일 회수가 가능하다.
핵심부품인 영상감지 장비는 순수국내기술로 개발되었다.탐지장비로는 탐지거리5Km 에,1mX1m를 한점으로 나타내는 해상
도인 국산SAR가 탑재된다고 알려져있다. 2000m이상 고도애서 정찰임무를 수행하므로 적은육안 관측이 불가능하고 작은크기
로 레더상에 새"정도 크기로 나타나 탐지가 힘들다. 정찰가능 영역은 300km 이나 실지운영시에는 80km이다. 순항속도에서 6
시간까지 비행이 가능하며 작전반경은 110km이다. 최대 4km상공까지 상승하여 정찰 할수있다.제3세대 국산열영상 장비 SU
-1k를 정착 하여 적진의 실시간 영상정버를 주야간구분 없이 제공할수있다.
한국은 군단급 무인기로 이스라애제 서처 -2 와 송골매와 사용중인대 서처-2에는 90파운드의 EL/M-2055 SAR 레이더를 장착
할수있다. 국산군단급 무인기인 송골매의 영어명으로 Night Intruder-300인대 AKI는 2009년 사단급무인기 Night Inturd
er-100의 시험비행을 완료했다. 대한항공도 2009년 사단급 무인기 KUS-9의시험비행을 완료했다. 2008년10cm해상도 SAR
인" KPU-STS 국산화가 성공했다. 그러나 아직송골매에 장착되었다는 보도는 없다.
RQ-101 송 골 매 : 최대이륙중량 : 290Kg , 체공시간 : 6시간 , 육군 : 4개 군단사용, 가 격 : 30억
파라포일 이용한 착륙하는모습 의 RQ-101송골매 무인정찰기
군단급 서처무인기(이스라앨제작)
길 이 : 5.85m 중 량 : 426kg
날 개 폭 : 1.25m 날 개 폭 : 8.54m
운용 고도 : 6100m 최대속도 : 200km/h
작전 거리 : 120km 체공시간 : 18시간
발사 중량 : 500kg 화물중량 : 68kg
탐지 거리 : 200-250km / 광학카메라 : 가시광선 ,적외선
한국 2개군단에서 사용중 가격 ; 50억
헤론 무인기
하피 대레이더무인기
KUS-9무인 사단용 무인정찰기 국산무인기
제 원 : 크 기 : 길이 3.4m 날개폭 : 4.2m
체공 시간 : 8시간, 최대고도 : 4km, 순 항 : 140km
최고 속도 : 210km
최대통신거리 : 80km (주야간 25km 인지거리 12km)
이륙 중량 : 150Kg 운용고도 : 4km
대대급 무인정찰기 : 006-RemoEye
제 작 : 유콘 시스템
전 폭 : 2.72m 전 장 : 1.72m
중 량 ; 6.8kg 최대속도 : 75km/h
운용반경 ; 15km 비행시간 : 2시간
운용인원 : 2명
13만화소10배줌, 주야간카메라 핸드런칭
개발이 진행중인 중고도무인기 KUS-15
고고도 무인기 도입이 지지부진하자 중고도 무인기를 2010년 초반으로 개발이 앞당겨졋으며 이기체를 바로성능을 개량하여
2015년즈음에 고고도무인기 를 개발하기로 하였읍니다.때문에 현재 진행중인 중고도 정찰용 무인 항공기 개발은 KFX나
TA-50 탐색 개발과는 매우다 르계 , 동체/ 레이돔, 주익 /미익, 앤진/제어/통합시험, 발전기, 공통사항,지상체종합, 임무
계획장비, 비행통제장치 비행통제장치, 영상분석장비, 위성데이터 링크부체계, 한국형중고도 무인기 EO/IR, 중고도무인
정찰기SAR, 까지 모든장비와 기체를 2011년까지 개발하는것을 기본으로 하고 기체는 별도로 개발하고, 기체에 탑재할
장비들은 KT-1 탑재하개발하여, 2011년 5월첫시제기 제작완성, 첫시험비행예정 이었으나 돌연 1년후로 연기되어 2012년
12월 1600억원이 투입돤 탐색개발종료 하고, 체게개발을 시작2014년 MUAV예 추가확보 및 2018년부터 전력화계획을
발표하고 2017년 체계개발 종료2018년 시험비행시 2020년도 실전배치 하는겄으로 알려져있읍니다. 필 자 주
스탤스 고고도무인기개발
군관계자에 따르면 합참은 저피탐 탐지용 정찰용 무인항공기 도입을 장기신규 소요 사업으로 편성하고 운용개념연구에 돌입
했다. 저피탐이란 탐지가 잘되지 안는 스탤스기술을 의미한다, 국방과학연구소 에서는 그동안스탤스능력을 갖촌무인기 기술
을 핵심기술 연구사업으로 선정해 진행해왔다. ADD는 무인기의 스텔스형상구현, 스텔스도료, 개발등 레이더반사면적
(ROS)을 줄일수있는 기술을 연구해 최근일부 분야에서는 완성수준에 도달한것으로 알려졌다. 2030년까지 실전배치를 목표
로 개발진행 중인것으로 알려졌다.
1, 개 요 : 최근인근 지역에 스커드, 등 미사일대륙간 위협에 노출되어 생종성 보장을위해
2, 목표성능 : 최대상승고도 (50,000-70,000(21Km)
3, 필요성능 : 고고도터보 젯트시스템,15m이상의 날개, 스텔스성, 고고도 정숙성
4, 고고도 터보팬 시스탬 앤진개발 사업
50,000피트 이상에서 연소가능한 차세대 연료개발 사업과 연동하여추진
5, 탐지시스템 : 대지상 X 파형감시레이더 및 적외선 실시간 전송
6, 기존개발형 디자인 개량을 통한 고고도 무인기 개발고려 날개면적을 50%-90%
증가, 착륙방식 글로벌호크 같은 랜딩시스템, 차세대고고도 앤진개발 .
7, 차세대 고고도엔진 및 고속용엔진개발
렘젯, 터보팬 등을 기초로,고고도 고속용엔진개발
A, 고고도 터보팬 엔진 : 무급유 20시간이상체공 , 안정화된 엔진설계
B, 고고도용 렘잿 엔진 : 무급유 10시간이상 ; 안정화엔진설계,
에프터버너미사용시, 마하,2
8, 고고도무인 정찰기 시스템
A, 고고도정찰기 내용전송 B,지상정보 처리및 전술처리
C, 직접적인 군대지위,명령 하달및폭격,레이더,전자적 교란실시
D, 상황종료
9, 무인정찰기설계하중 및 필요사항
A, 측면 바탕20M/S 상태에서 기체자력으로 이륙가능
B, 탑재무기및 연료80,000 Ib 를 넘개탑재
C, 각부분은 필요에따라서 모듈교체화 (장비,편의성및사용장비극대화)
D, 세미스텔스및 본격 스텔스적용 E , 저소음화 용
10, 운영 정보부대 보안사항
A, 허가된 곳이외에는 일체인터넷 사용금지
B, 외무인 접근차단및 차단구역화
C, 정보부대 운영시 보호구역으로 모든고충 건물및 벌목등의 행위금지
D, 도로등의 야전 활주로 운영및 운영상황 극비보안
E, 통일및 평화 관련시민단체 요직인사 차량특수검문
F, 기지주변 땅에대한 진동파 스캔후,
구조물이 있다고 판단시 구조물무력화및 파괴진행
G, IR및 특수진동 센서가 탑재된 기지보안용 극비핼기
미해군용 무인 전투기 와 유사한 스탤스 무인기를 개발하려한다. 아래 해군무인기
500MD 무인화사업
500-MD핼기 : 1988년까지 국내의 대한항공에서는 280대의 500-MD토 생산되었다. 휴즈사에서 맥도랄 더글러스 사로회사가
바뀐이후 500-MD 디펜더로불린다. 북한도 1984년11월 유령회사를 통해80여대를 입하여 60여대를 공격핼기로 개조해 운용
하고있다. 지난2013년 7월27열 열병식에 AT-3새거 대전차 미사일을 장착한 MD-500 등장하기도 했다. 우리나라는 2022년
무장핼기가 개발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