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군사력 랭킹 31위( 2022년 )
위치북부아프리카 지중해 연안
인 구 : 43,053,054명 (2020년 추계) 수 도 : 알제 면 적 : 2,381,741.0㎢
공식 명칭 : 알제리 인민 민주 공화국(People's Democratic Republic of Algeria)
민족 구성 : 아랍-베르베르인(99%) 유럽인(1%) 언 어 : 베르베르어,아랍어
정부/의회형태 : 공화제 / 다당제&양원제, GDPUSD : 197,629,000,000, 인구밀도 : 18명/㎢
상 비 군 : 435,000 명(77위) 예비군 : 290,000 명 ● 아프리카대륙 군사력 2위
전차전력 1세대 : 275 대, 2세대:625 대,
3 세대 : 180대 , 계 : 1,105 대(+? 대)
장갑차(APCs/IFVs) 2,663 대, M수송차량 : 550 대
견인포 100 문 박격포 350 문,
자 주포 : 250 대
공군 전력 : 440기 5세대 전투기 : 14 기,
4.5세대 : 전투기 44 기 ,
4세대 전투기 : 30 기,
헬리콥터 191 기
알제리 육군 창설 1962년
정규군 107,000 명 (2007)
예비군 150,000 명 (2007)
MBT1세대 : T-55AMV, 2세대 : T-62, 3세대 : T-72 계열 , T-90S(A)
경전차 : AMX-13 PT-76
자 주 포 : 자주곡사포 2S1 그보즈디카, S3 아카지아, PLZ,
대전차 자주포 : SU-100R
자주대공포 : ZSU-57-2R, ZSU-23-4, 판치르-S,
T-90S : 180 대 ▼
T-72 : 325대
T-62 : 300 대
T-55AMV : 275 대
AMX-30전차 : ????
PT-76 경전차
궤도장갑차 : BMPT ♣ BMP-2 Berezhok BMP-1, BTR-50, OT-62, OT -62
장륜장갑차 : BRDM-2 , OT-64 , 파나르 M3 Fahd, EE 9,
살라 딘 (Tpz 훅스) BTR 60, BTR 80
차량 소 형 : 벤츠 G500, BA6, 오토카르 코브라, Nimr
트 럭 : ZiL-157 , SNVI 메르세데스-벤츠
악트로스 , 제트로스·우니모크 4000, ▼ BMP-1 : 685 대
BMP-2 : 300대
BTR-50
BMPT
MRDM-2
OT-62
OT : 64
Pinar-M3
FAHD
EE-9
다연장 로켓 : ▼BM-14-16 BM-16, BM-24,
BM-21, BM-30, TOS-1 부라티노
BM-21
BM-24
BM-27
BM-30 - 구경 300mm
TOS-1 부라티노 부라티노 2대에 한대의 탄약 운반차
9K31 스트렐라-1 대공차량 , 9K32스트렐라 -2 SA-7, 맨페즈, 9K35M3 스트렐라-10 대공차량
9K32 ≪ Crpena-2 》
사전거리 : 3,400m , 상승한도 : 50-1,500, 최대속도 m/s : 430,
길 이 : 1,443mm 시스템중량 : 14.5kg, 미사일 중량 : 9.5kg ,
탄두중량 : 1,17kg, 발사시간 : 10초
9k32 ≪ Crpena-2M≫ 개량형
사정 거리 : 800- 4,200m, 상승한도 : 50-2,300m, 최대속도 : 500 m/s,
길 이 : 1,440m 시스템중량 : 15kg 미사일 중량 : 9.8 kg
탄두 중량 : 1,17kg 발사시간 : 10초
9K 35 M3 스트랠라 10
단거리 미사일 : 9K33(M3) 오사,
9k-330 지대공미사일
9K37 부크 SA-11 Gadfly 은 러시아의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이다. 1979년에 배치되었다. SA-11 Gadfly 지대공 유도탄 체계는기존의
SA-4 Ganef 및 SA-6 Gainful 유도탄 체계를 대체하기 위한 저고도 중거리 SAM 체계이다.
SA-11의 레이더 시스템과 지원장비를 포함하는 전체 유도탄 체계의 러시아 명칭은 Buk으로 알려져 있으며, 1979∼1980년에 걸쳐서
실전에 배치되었다.구 소련의 NⅡ Priborostroeniya가 설계하여 Uljanovsk기계 제작소가 제작하였다. 체계를 구성하는 주요 장비
들은 GM-539 차량의 포가를 기본으로 개발된 것으로 소총 또는 화생방공격으로부터 방호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Tube Arm과 같은 레이더 체계를 포함하는 Buk 유도탄 체계의 기능상 문제점들이 발견됨에 따른 개량형 개발사업이 추진되었다.
Buk-M1으로 알려진 이 체계는 9S18M Snow Drift 레이더를 장착하고 있다. Buk-M1 체계의 암호명은 Ural로 알려져 있으며, 전술
유도탄 또는 로켓과 함께 운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포대는 1대의 지휘통제차량과 표적 탐지 레이더 운용차량 및 6대의 발사 차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발사대는 특별히 제작된 적재 및 발사 차량에 장착되어 있다.이 차량은 예비량의 유도탄을 적재 할 수 있는기능
을 보유하고 있다. 9S470M 지휘통제차량은 SA-11 유도탄 체계를 운용하는 포대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써 포대의 제원 전시 및 통제
체계디지털 사격통제 컴퓨터, 항법시스템, 지휘 통제 통신 체계와 보조 동력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ZSU S1 핀치르 대공포
ZSU 23-4 대공포
2S-3 155mm 자주포
2S-1 152mm
SU-100대 전차포
S - 300 대공 미사일
C28A 호위
기준배 수량 : 2,500 톤 만제 배수량 : 3,144 톤
함 길 이 : 123.2 m (404.19ft), 함폭: 13.8 m (45.27ft), 홀 수 : 3.76 m
추 진 기 관 : CODAD (Combined Diesel and Diesel) 방식
2기의 Tognum MTU 12V 1163 TB 83
(출력 10.5 MW)과 순항용으로 2기의 MTU 디젤엔진(출력 6.6 MW)
최 대 속 도 : 29 kn ( 항속거리 : 4,000 nmi, 승조원 : 170 명
센서및 관제시스템 : SUR 17 대공감시레이더, SR-60 대공/대수상 수색 레이더, KH 2007 항법레이더, Type 347 CIWS 사통레이더더, CIWS 전자광학지시기, 레이더경보수신기
전자전 및 기만기 : RWD-8 intercept, NJ8I-3 jammer, Decoy flare, chaff launcher
무 장 : 1× 76.2 mm calibre AK–176M 주포Type 730B CIWS (2× 30 mm 7-barrel Gatling guns)
1× 8-cell FM-90N SAM 발사 2 × 4-cell C-802 SSM 발사기
2 × 3-cell ET-52C 어뢰발사 2 × 6-cell RDC-32 대잠로켓발사기
탑재헬기: 1× Harbin Z-9EC ASW 헬기 및 비행갑판과 격납고 보유
▼ FREMM급 구축함 : 6 척 이탈리아 5,500 톤 2015 년
FREMM(Fregate Europeene Multimission) 계획이란 프랑스- 이탈리아호위함 공동개발 건조계획으로, 5500톤급 호위함
27척을 총 90억 유로(114억 3,000만 달러)로 건조해, 2010년에서 2018년에 사이에 취역시키자는 것이다.
프랑스측의 Armaris 컨소시엄(프랑스 DCN사와 탈레스사가 50:50으로 설립), 이탈리아측이 Orizzonte 컨소시엄(이탈리아
FIncantieri사와 Finmeccanica사가 설립)이다. 두 회사는 2002년 12월부터 2004년 중반까지 FREMM의 계획 책정 국면
계약을 주해 연구를 진행시켜왔다. 프랑스 해군용은 모두17척으로 대잠호위함 8척, 대지 공격 호위함 9척을 건조하며, 이탈리아
해군용은 10척으로 대잠 호위함 4척, 범용 호위함 6척이다. 목표 단가를 프랑스용은 2억 8,000만 유로, 이탈리아용은 3억 5,000
만 유로로 설정해 놓았다.가격은 Batch 1 발주시 14척을 주문했다고 가정했을 경우이며, 현재 Batch 1 발주에는 프랑스 해군용
8척, 이탈리아 해군용 6척을 건조하기로 했다. FREMM 호위함은 전장이약 140m, 전폭이 약 19m이다. 최초에는 만재배수량
4500톤이 상한선이 었으나 점차 5000톤, 5500톤으로 증가하여 현재는 5500톤으로 확정되었다.
전투체계 : 전투 통제 시스템(CMS : Combat Management System)은 프랑스에서는 DCN사와 Thales Naval France사가
개발한SETIS를 사용한다.이탈리아에서는 현재 건조중의 항공 모함 Cavour용으로 개발된, AMS사 CMS의 파생형을 사용한다.
장거리 레이더는 탑재되지 않지만 프랑스에서는 탈레스사의 Herkules 다기능 레이더를 선정하고 있으며, 이탈리아 에서는
AMS사로부터 EMPAR (European Multi Function Phased Array Radar)를 선정하고 있다.
프랑스 탈레스사에서 개발된 Herkules는 1980년대에 개발된 DRBJ-11B 계열의 최신 발전형으로 직경 3m 렌즈 안테나에는
1,761개의 위상 변위기가 달렸고 이 안테나는 전기 모터로 돌리는 회전 마운트에 달려 1분에 60번 회전한다.
안테나의 무게는 3.5톤이고 회전 마운트 밑의 내부 장비의 무게는 5톤에 달한다.Herkules는 싱가포르의 포미더블급에 탑재되어
있으며, 250km까지 광역 탐색을 실시하고 구역방공의 커버는 80km까지 제공하며 필요하다면 두 임무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동시에 추적할 수 있는 공중 및 해상 표적의 숫자는 모두 500개이고 Aster-15/30 미사일의 중간 지령 유도에 의해 10발 이상 동시
교전할 수 있다. EMPAR(European Multifuntion Phased Array Radar)는 이탈리아의 안드레아 도리아급에 탑재되는데,
이것은 이탈리아 AMS(Alenia Marconi Systems)에서 개발한 것이다. EMPAR는 1면 수동식 위상배열 레이더를 분당 60회전
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C밴드에서 작동한다. 목표 수색을 위한 원거리 모드에서는 항공기를 180km에서 탐지하며, 통상
모드에서는 항공기를 90km, 미사일을 40km에서 탐지하게 된다.
그러나 저고도로 비행하는 미사일의 경우는 23km에서 탐지할 수 있다. 최대 탐지 목표수는 300개이며 이중 50개의 목표에 대해
12발의 Aster-15/30 미사일로 동시 교전할 수 있다.추진기관은 CODLAG나 CODLOG를 고려중이며, 어느쪽이든 전기 추진시의
속력은 15.5노트, 최고 속도는 27노트이다. 해상급유없이 19노트 순항시 순항거리는 6,000nm에 달한다.
MEKO 200호위함 : 3척 독일 3,500 톤 길 이 : 121m 전 폭 : 14.8m 홀 수 : 4.4m
배수량 : 3500t(만재시) 최고 속도 : 27kt 승무원 : 173명
독일의 블룸+포스 조선소에서 만든 호위함. MEKO는 독일어로 Mehrzweck-Kombination의 약자이며 다목적으로 조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표준화와 모듈화 덕분에 무장과 전자시스템, 추진기관 등을 구매국의 요구에 맞출 수 있게 되어 있어 건조비
절감되고 도입 이후에도 필요한 부분만 교체하면 되는 장점이 있다.
대표적인 모델인 200을 중심으로 설명을 하고 있지만 MEKO200만 존재하는것은 아니며 MEKO란 건조 방식을 의미하기에 초기
모델인 MEKO 360H계열 초계함급인 MEKO A 100계열과, 3000톤급 호위함급인 MEKO A 200계열 외에도 독일의 구축함인
브란덴부르크급, 작센급, 호위함인 F125 ,초계함인 K130 브라운슈바이크급도 MEKO 시리즈에 속한다.
전 세계적으로 최소 17개 국가에서 다양한 급으로 61척이상이 건조된 MEKO시리즈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안작급 호위함의 바탕이
된 함급이며 터키, 그리스, 포르투갈에서도 여러척이 운용 중에 있다. 우리나라 광개토대왕급에도 영향을 준 바 있다. 이것은
파생형 이 다양한 만큼 무장에 따라서 체급이 3,000톤급과 4,000톤급 호위함을 넘나든다.
차기 군함 도입
산 지오르 지오급 : 1 척 이 태 리 : 8,000 톤 2015년,
MEKO 200 호위함 : 3 척, 독 일 : 3,500 톤 2015 년
스테레구시급 호위함 : 2 척 러 시 아 : 2,000 톤 2015 년,
FREMM 급 : 6척 이태리 : 5,500 톤 2015년
스트레구시급 호위함 ( 러시아 ) : 2척 만재 2,000톤
러시아의 신형 군함인 Steregushy급 호위함입니다. 예전의 러시아 군함과는 달리 스텔스디자인을 채용했습니다
군함 디자인의 대세는 이제 스텔스디자인 같습니다. 앞으로 건조되는 함정은 전부스텔스 형이 되곘지요 .
제 원 : 길 이 : 105m, 수선 길이 : 90m, 폭 : 13m , 흘 수 : 3.5 m, 만재배수량 : 2,000t
추진기관 : CODAG방식, 출력 27,500kWt
속 력 : 27kt , 항속거리 : 14 knots로 4000 sea miles
무 장 : A190 100mm 단장포 1문, CADS-N-1 Kashtan CIWS 1문,
3M24 Uran (SS-N-25) 대함미사일 8기
탑재항공기 : Ka-27 대잠헬기 승 조 원 : 117명
(제원출처-DAUM'BOB&밀리터리'카페)
제벨 체노우아급 초계함 : 3 척 알제리 550 톤 (만재) 1988년 ~ 1995년, 퇴역 ????
Kebir 고속정 : 1 2 척 영국 1982년 노랑색 이미지 를 찻을수가없내요. 1982년 (퇴역 ) ????
미 사 일 : 4 x C-802, SA-18
▼ 나누추카급 개량형 미사일 초계함 : 3 척소련 675 톤
무 장 : 16기 x SS-N-25 대함 미사일, 20 기 x SA-N-4 SAM
Rais Hamidou 고속정
Koni급은 NATO 암호명으로 소비에트연방시절 Project 1159로 건조된 대잠전용 콜벳으로 Storojeve Korabli (SKR), 혹은
호위함(Escort)이나 방어함(Guard Ship)으로 불렸다..1975년부터 1988년 사이에 14척이 북해 Zelenodolsk 조선소에서 건조
되어 기존의 구형 Riga급 프리깃을 교체할 예정이었으나 친소국가에 수출하는 함정으로 선택됐다.
흑해함대에 배치되어 승무원 훈련용으로 사용된 1척을 제외하고 구소련 해군에서 운용되지 않았다. Koni I급은 러시아, 동독 및
유고슬라비아 등 유럽해군용으로 설계됐고 Koni II급은 난류지역 해역에 맞도록설계됐다. 1980년대에 Koni급 프리깃은 알제리
에 3척, 시범 및 훈련용으로 구소련에서 운용 했다. 구소련의 40형 대잠어뢰 406mm 4기의 어뢰발사관이 장착됐으며 나중에
개량된 화이트헤드 대 어뢰 발사용 324mm 어뢰발사관 6기가 설치됐다.
제 원 : 표준배수량: 1,140 tons, 만재배수량 : 1,900 tons
길 이 : 95.0 m , 함폭 12.8 m , 홀수 : 4.2 m
추진기관 : CODAG 방식 디젤엔진 2기와 가스터빈 1기로 3축추진, 총 출력 35,000 shp
최대속도 : 27 knots, 항속거리 : 1800 nm at 14 knots, 승 조 원 : 110명
센서및 관제시스템
레 이 더 : Don-2, Slim Net, Strut curve, pop group, Hawk Screech, Drum Tilt,
소 나 : Herkules hull mounted & dipping sonar
알제리 해군은 Koni급을 3척 도입 Murat ReisI급이라고 명명하였다
Murat Reis급의 만재 배수량은 : 1,650톤, 최대속도 : 27노트, 승조원 : 130
무 장 : SA-N-4 지대공 미사일, 76.2mm 쌍열 함포 2문, 30mm쌍열 CIWS : 2문,
RBU-6000 대잠 로켓 2 연장 : SA-N-4 대공미사일 발사기 1기,
SS-N-2C Styx 대함미사일발사기 : 4기, 76.2 mm 2연장 59구경 이중목적 함포 : 2문,
30-mm/65-cal 근접방어용 2연장 기관포 : 2문
RBU-6000 폭뢰용 대잠 로켓발사기 : 2기 20기의 기뢰장착대 보유
산지오르 지오급 개량형 LPD : 1 척 이탈리아 8,000 톤 2014년
함 종 : 도크형 상륙함(LPD) □ 만재배수량 : 8,088톤
전 장 : 133.3m □ 전 폭 : 20.5m □ 흘 수 : 5.3m
최대 속도 : 21kt □ 항해 거리 : 7,500nm/16kt, 4,500nm/20kt
승 조 원 : 168명(사관 12명 □ 상륙 병력 : 400명
주 기 관 : Fincantieri GMT A 420.12 디젤 엔진 × 2(16,800 마력), 2축 추진
무장(함포) : OTO-Melrar 76.2mm/62 함포 × 1, Breda Oerlikon 25mm/
90 기관포 × 2, 12.7mm 기관총 × 2
ESM/ECM : SLR-730 ESM, SLQ-747 ECM
레 이 더 : SMA SPS-702 해상탐색 레이더, □ S MA SPN-748 항해 레이더
Selenia SPG-70 사격통제 레이더
헬 기 : AW-101 × 3 또는 AB-212 × 5
알제리의 상륙함/기타함
칼라트 베니 함메드급 소형 상륙함 : 2 척 ( 영국 6,000 톤 1984년) 퇴역 ??
폴노크니급 B 소형 상륙함, LCT : 1 척 (폴란드 834 톤 1976년) 퇴역 ??
아베이유급 긴급 예인선 : 3 척 3,200 톤 2012년
S0UM MAM 훈련선 : 2척 5,500톤 2006년
킬로급 636M 잠수함 : 4 척 (소련)
형 식 : 공격잠수함 (SS) 수중배수량 – 2700톤
승 조 원 : 35명 추진방식 – 디젤전기 AIP
항속 거리 : 스노클링(7노트)시 7,000마일, 잠항(3노트)시400마일,
최고속도(20노트)시 ??마일, 작전지속기간 45일
탐색장비 : Lira 소나 시스템 (수동/능동 탐색소나, 견인소나 포함)
MG-519 해저지형회피 소나, MRK-50 대수상레이더
무 장 : 533mm 어뢰발사관 6문 (UGST 중어뢰, RPK-6 대잠미사일
M-54 대함/순항미사일 탑재)
작전 심도 : 250m, 최대심도 300m, 잠망경심도 17.5
알제리의 잠수함 (러시아) ♣ 636M 킬로급 4척 ♣ 877 : 2척 총 : 6척
프로젝트 877 팔투스 (Paltus)급 (나토명 킬로급) : 2척
형 식 : 공격잠수함 (SS) 수중배수량 – 3000톤
승 조 원 : 53명 추진 방식 – 디젤전기
최고속력 : 20노트 항속거리 – 11000km
탐색장비 : MGK-400 수동/능동 탐색소나, MG-519 해저지형회피 소나, MRK-50 대수상레이더
무 장 : 533mm 어뢰발사관 6문 (53-65K 중어뢰, 쉬크발 로켓추진 어뢰, 3M-54 대함/순항미사일 탑재)
건 조 국 : 소비에트 연방/러시 ♣초도함 취역 – 1980년 총건조수 – 33척
작전 심도 : 877형-작전심도 240m, 최대심도 300m
알제리 공군 : 1962년창설 항공기 합계 : 440기
Su-57 다목적 스텔스 전투기 : 14기(5세대),
MiG-25P/PD/RBSH 정찰요격기 : 18 기
Su-24MK2 전 폭 기 : 38 기 Su-24MRK2 정찰기 : 4 기
Su-24MP 전자전기 : 2 기
Su-30MKA 다목적 전투기 : 44 기
Su-34 전투폭격기 : 1 4 기
SU-35 S : 14 대
MiG-29S 다목적 전투기 : 30 기 핼기전력 : 191대
▼ SU-57 PAKPA : 14 대
알제리가 거의 공식적으로 러시아제 스텔스 전투기 'Su-57'에 대한 인수계약을 확정지었으며, 러시아 '수호이' 사의 첫번째 스텔스
전투기 수출 고객이 된 것으로 보인다.이외에 알제리 공군은 14대의 Su-34 전폭기와 14대의 Su-35 전투기를 도입하기 위한 다른
2개의 계약을 추가로 체결한 것으로 보인다. 이 결정은 2019년 여름 모스크바에서 열린 MAKS 에어쇼에 알제리 대표단이
방문한뒤에 이루어졌다. '부마이자' 알제리 공군 사령관이 방문 기간 동안, Su-57은 다방면에서 검증을 받았다.
무 장 : 30mm 그리아체프-쉬푸노프(Gryazev-Shipunov) GSh-301 기관총(우측 설치) x 1
레이더반사면적(RCS) : 약 1~0.1㎡
하드 포인트 : 12개(내부 무장창 6개, 외부 파일런 6개)
장착가능무장 : RVV-MD, R-73(이상 공대공), Kh-38ME (공대지),
Kh-356E(공대함), Kh-58UShKE(대방사능유도탄)
항 전 체계 : Sh121 다목적 통합 무선 전자 체계(MIRES) / 능동형 무선광 위상 레이더(2020년 목표)
대 당 가 격 : 약 5,000만 달러 이상(추산)
종 류 : 다목적/제공권 장악용 전투기
승 무 원 : 1명 전장: 22m, 전폭: 14.2m, 전고: 6.05m
날개면적 : 78.8㎡ 자체중량 : 18,500kg 최대이륙중량: 37,000kg
추진체계 : 2 x 새턴(Saturn) AL-41F1(시제기) 이즈델리예 30 터보팬 엔진(양산기)
드라이 추력 : 11,022kg 애프터 버너 추력 : 18,150kg
정속 최고속도: 마하 2 초음속 순항 최고속도: 마하 1.6
항속거리 : 5,000km 실용상승한도 : 20,000m
상 승 률 : 361m/분 최대중력한계: +9G 왼족 SU-57 오른편 SU-35
▼ MIG-29S : ?????
알제리 공군은 2006년 34대의 MiG-29SMT를 주문하였는데 2007년 15대를 시작으로 MiG-29SMT 인도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돌연 성능상의 하자를 이유로 반 품을 요구하였다. 이후 반품과 함께 대금의 환불을 요구하며 계약을 취소하였다.
이는 미그29의 성능의 하자보다 국방예산을 같이 도입하던 SU-30에 집중하기 위해 알제리 정부가 벌인 소동이라는 견해가 강하다.
결국 이 기체들은 러시아 공군이 인수하였으며 현재 쿠르스크 항공군에서 잘 운영하고 있다.
SU30MKA : 44대 형 식 : 쌍발 터보팬 장거리 다목적 전투기
전 폭 : 14.7m 전 장 : 21.935m, 전 고 : 6.36m
주익면적 : 62.04㎡ 최대이륙중량 : 34,500kg
엔 진 : 새턴 AL-31FL 터보팬(27,560파운드) × 2
최고속도 : 마하 2(2,120 km/h) 실용상승한도 : 17,300m,,
최대항속거리 : 3,000km
무 장 : GSh-30-1 30mm 기관포 × 1
R-27ER1 / R-27ET1 / R-73E / RVV-AE 공대공미사일
Kh-31P/ Kh-31A 대레이더미사일
Kh-29T/L 레이저유도식 공대지미사일
Kh-59ME 공대함미사일
하드포인트 12개소에 각종 범용 / 레이저 유도폭탄 8,000kg 탑재
항전장비 : N011M AESA 레이더
U -34 다목적 전투기 : 34 기
형 식 : 쌍발 전투 폭격기
전 폭 : 14.7m, 전 장 : 23.34m, 전 고 : 6.09m
주익 면적 : 62.04㎡, 최대 이륙 중량 : 45,100kg
엔 진 : 새턴 AL-31FM1 터보팬(17,857파운드)×2
최고 속도 : 마하 1.8(2,000 km/h), 실용 상승 한도 : 15,000m
최대 항속 거리 : 4,000km 2019년12월 도입계약
무 장 : GSh-30-1 30mm 기관포×1, B-8 로켓 포드(S-8KOM/OM/BM×20)
B-13 로켓 포드(S-13T/OF×5) , O-25 로켓 포드(S-25OFM-PU×1)
R-27R/ER/T/ET 공대공미사일×2, R-73 공대공미사일×2 , R-77 공대공미사일×2
Kh-25ML/MT 공대지미사일, Kh-29L/T/D 공대지미사일
Kh-38LMAE/MKE/MLE/MTE, 공대지미사일Kh-59ME/MK/MK2
Kh-31A/AD 대함미사일, Kh-35U 대함미사일, Kh-41 대함미사일
Kh-25MP 대레이더미사일, K h-31P/PD 대레이더미사일, Kh-58 대레이더미사일
Kh-36 순항미사일, Kh-65S/SE 순항미사일, Kh-SD 순항미사일
하드포인트: 12개소에 8,000kg 폭장
항전 장비 : V004 N001 수동식위상배열레이더, Khibuny 전자전 시스템, SAP-14 전자전 시스템
SAP-518 전자전 시스템 UKR-RT SIGINT 시스템
SU-35 : 14기 2025 년 까지 도입한다고 !!!!!
항전장비는 현존 러시아 전투기 중에서 최고로 평가된다. 장착된 Irbis-E 레이더는 완전 디지털화한 X밴드 PESA 레이더로, 400km
거리에서 30개의 공중 목표물을 탐지하여 추적할 수 있고 8개 목표물에 동시 공격이 가능하다. 또한 정면 90km에서 레이더반사면적
(RCS, Radar Cross Section) 0.01m²인 목표물을 탐지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는 B-2 폭격기의 RCS로 추정되는 수치다. 그렇다면
이론적으로 B-2 요격이 가능하다는 의미이기는 하나, 확실하게 검증된 것은 아니다.
러시아는 2007년부터 훈련용 복좌기인 Su-35UB를 포함한 50기의 물량을 도입하여 노후 Su-27을 순차적으로 대체했고, 운용 성과
에만족하여 2016년에 2차로 50기를 추가 발주하여 총 100대를 운용할 예정이다.
2015년 11월 24일 터키의 F-16에 의한 러시아의 Su-24 격추 사건 직후 4대의 Su-35가 시리아에 전진 배치되었다. 이후 교전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으나 개발 목표대로 모든 성능이 발휘되었다고 알려진다.
제 원 : 기 종 Su-35S 형 식 : 다목적 전투기 승무원 : 1 명
전 폭 : 15.30m 전 장 : 21.90m, 전 고 : 5.90m
주익면적 : 62.04㎡ 최대이륙중량: 25,300kg
엔 진 : AL-41F1S 터보팬(31,900파운드)×2, 최고속도: 마하 2.25
실용상승한도 : 59,100피트 전투행동반경: 3,600km
초도비행 : SU-27M →1988년 6월 28일, SU-35S→ 2008년 2월 19일
대당 가격 : 미화 약 4,000만~6,500만 달러 양산 대수 : Su-27M 15대 Su-33S 58대 이상
무 장 : 30mm Gsh-30-1 기관포 1문
R-27RE/TE, R-40, R-60, R-73E, R-77M/P/T, R-74 공대공미사일
Kh-25ML, Kh-29L/TE, 3M-14AE 공대지미사일 3M-54AE1,
Kh-31A/AD, Kh-59MK, 야혼트(Yakhont) 공대함미사일, Kh-25MP,
Kh-31P/PD , Kh-58UShE 대레이더미사일, KAB-500KR, KAB-500L,
KAB-500OD, KAB-500S-E, KAB-1500KR, KAB-1500L,
GBU-500, GBU-500T, GBU-1000, GBU-1000T 유도폭탄
하드 포인트 : 12개소에 최대 8,000kg 탑재 가능
항 전 장 비 : Irbis-E 레이더, OLS-35 IRST, L175M 전자전시스템 등
SU - 24 MK 2 : 38대
SU-24 MP/MRK : 6 대
MIG-P/PD/RBSH 정찰 요격기 : 18 대
L-39 알바트로스 고등훈련기
AA-8 ( R60 )
AA-7 아펙스 ( R23-24 )
AA-10 ( 알라보)
아처
애더 공대공 미사일
C-130H
IL-76
IL-78 공중급유기 : 4기
F-27 호커
레이시온 걸프스트림
CASA C-295
비치크레프트 수송기
AW 101 수색 구조핼기
MI- 24 공격핼기 : 36기
MI-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