世界 의 공격기
A-4 스카이호크 : 아직도 현역 으로 운용되는 스카이호크 브라질 항모 ,
SaoPaulo 함상의 A-4 스카이호크(브라질 명 F-1)
공격기(攻擊機)는 : 군용기 종류의 하나로 폭격기보다 정밀하게 저공으로 지상공격을 주로하는 항공기이다. 지상병력의 근접항공 지원이 주요
임무지만, 항공공격차단 등의임무도 병행한다. 현대전에 이르러 지상병력의 근접항공지원은 대부분공격 헬리콥터들에 의해서 이루어지나 A-
10선더볼 II등의 항공기들은 워낙뛰어난 성능을보여 공격기로의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A-4 스카이호크는 작은크기와 가격 효율성, 그리고
여전히 2차 세계대전 후 소형항모를 운용한 국가의 해군에게 크게각광받았다. 구형 항모 들은 F-4 팬텀 II나 A-8 크루세이더(Crusader) 처럼
무겁고 운용 조건이 복잡한 함재기를 탑재할 수 없었으므로, 비록 성능이나 탑재중량 면에서는 조금 떨어지더라도 수납이쉽고 항모운용이
간단한 A-4 스카이호크 를 선호했다. 제작생산 : 미국 운용국 - 브라질, 이스라앨, 인도
A -4 스카이호크는 짧은 저익(低翼)을 채택한 삼각익을주익으로 장착했으며, 날개가 작은데다 날개를 접기위한 구성부품이 들어가지 않음
므로 중량도 최대 91kg 가까이 줄일 수 있었다.동체 설계는 강력한 J65 엔진을 동체 후면에 넣고동체 전면 양 측면에 공기흡입구를 설치한
전투기이로 미익은 수평 미익을 동체 위에 설치하여 수직 미익과 십자가를 이루게 했다.
또한기본 무장으로 100발씩 수납되는 콜트(Colt) 사의 20mm Mk.12 기관포 주익과 동체의 접점에 각 한정씩 설치했으며, 동체 아래에
하나에 각 주익에 두개씩 하드포인트를 설치해 다양한무장을 장착할 수있게 설계했다. 스카이 호크는 속도측면에서 유사 등급의 기종보다
뛰어 나지는 않았으나, 통제력이 우수하고 기동성이 높은기체였기 때문에 여러 나라에서 각광받았다. 또한초창기 스카이호크에는 레이더가
없었음 에도 불구하고 열 추적 사이드와인더와 20mm 기관포를 장착하고 있었기 때문 에 근거리 전투에서는 활용도가 우수한 기체였다.
종 류 : 전투기/지상공격기
제 조 사 : 더글러스 항공(1954~1967), 맥도넬-더글러스(1967~1979, 現 보잉[Boeing])
승 무 원 : 1명 (OA-4F, TA-4F, TA-4J만 2명)
전 장 : 12.22m 전고: 4.57m 날개 길이: 8.38m 날개 면적: 24.15㎡
자체 중량 : 4,750kg 최대 이륙중량: 11,136kg
추진 체계 : 9,300 파운드급 프랫 앤 위트니(Pratt & Whitney) J52-P8A 터보제트 엔진 X 1
최고 속도 : 1,083km/h 항속거리: 3,220km 전투 범위: 1,158km (625해리)
실용상승한도 : 12,880m 상 승 률 : 43m/s 날개 하중 : 344.4kg/㎡
추력 대비 중량 : 0.51 중력 한계 : +8/-3G 아래 " 이스라앨 기 체 TA-1
기 본 무장 : 20mm 콜트(Colt) Mk.12 기관포 X 2 (각 100발)
하드 포인트 : 총 4개 (주익 아래 4개, 동체에 1개), 총 4,490kg 탑재 가능
장 착 무 장 : LAU-10 로켓 포드 (127mm Mk. 32 주니 로켓 x 4)
AIM-9 사이드와인더(Sidewinder) 미사일 X 4
AGM-45 슈라이크(Shrike) 대방사 미사일 x 2
AGM-12 불펍(Bullpup) X 2 , Mk. 80 계열 무유도 폭탄
AGM-62 월아이(Walleye) TV 유도식 글라이드 폭탄 X 2
AGM-65 매버릭(Maverick) 미사일 X 2 , B43/57/61 핵폭탄
락아이(Rockeye)-II Mk. 20 클러스터 폭탄 x 6
락아이 Mk.7 / APAM-59 클러스터폭탄
항 전 장 비 : 벤딕스(Bendix) AN/APN-141 저고도 레이더 고도계 (C, E, F형)
스튜어트-워너(Stewart-Warner) AN/APQ-145 매핑/레인지 레이더 (F, E, N, S, SU형)
총 양산대수 : 2,960대 대당 가격: $280만 달러~$380만 달러
미국 의 공 격 기
AV-8 해리어
영국 BAe(British Aerospace)에서 개발한 세계 최초의 수직이착륙(VTOL : Vertical Take-off Landing) 다목적 공격기가 바로
해리어(Harrier)다.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는 말처럼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대형 항공모함을 보유할수 없었던 영국해군의 특수한
작전환경이 아니었다면 해리어는 탄생할수 없었을 것이다.해리어는 추력변향엔진 (TVE : Trust Vectoring Engine)을사용, 비좁
은 공간에서수직으로 이착륙할수 있고 제한적이지만 공대공 요격임무도 훌륭히 수행할 수 있다. 해리어 개발 성공에 가장 큰 원동
력이 된 롤스로이스 페가수스 추력변향엔진은 4개의 노즐을 통해 엔진추력 방향을자유자재로 전환, 놀라운공중기동을 가능케 한다.
1978년 11월9일 처녀비행에 성공했고 양산형 기체인 AV-8B는 처녀비행이 성공한 81SUS 11월5일 이후 영국 해군을 중심으로 실전
배치됐다. 운용국 - 미국 , 이탈리아 , 태국 , 인도 현재 영구에서 운요되던 AV-8 해리어는 전량 퇴역했읍니다.
가장성공적인 수직 이착륙 공격기로 평가받고 있는 해리 어는 영국 해·공군 및 미국 해병대를 필두로
스페인 ·인도· 이탈리아· 태국 등의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다. 93년부터 실전배치된 해리어 II Pluse
는 해리어의 최신 개량 기체로 AN/APG-65 레이더를 장착, AIM-120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운용
등 강력한 공대공 전투능력을 자랑한다.
스 콜 피 온
Txtron AirLand Scorpion은 Textron과 AirLand Enterprises의 합작회사인 Textron AirLand가 개발한 공격 및 정보, 감시 및
정찰 (ISR) 항공기입니다.제트기는 2013년 12월에 첫비행을 했습니다. Txtron Sorpion의 최대 탑재량은 4,173kg이며, 날개에 장착된
6개의 하드 포인트는 총,로켓, 레이저유도, 적외선 공대공 미사일 및 기타 유도 및 유도되지 않은 탄약 등 최대 2,810kg의 병기를 운반할
수" 있습니다. 동력 장치는 각각18kN의 추력을 제공하는 2개의 Honeywell TFE731 터보 팬 엔진을 통합 합니다.기체는 최대 833km
/h의 속도로 비행 할 수 있으며 4,074km의 범위에 도달 할 수 있습니다. 아직 미군의 공식적인 운용기체는 아님니다.
현재개발완료 된 기체로 시험비행에 돌입항 기체임니다.
A-10 공격기
A-10의 조종사와 엔지니어들은 이 비행기를 바르트호그(wart-hog)각주1) , 호그(hog), 탱크버스 (Tankbuster) 등으로 불렀다. 다른 비행기
에 비해 느리지만 매우강하고 제대로 무장된 A-10은 CAS (Close Air Support)각주2)를 수행한다.그래서 근처에 있는 적국의 군대와 차량을
공격한다. 최대 비행 속도가 그리 빠르지 않지만 매우 튼튼해서 고사포와 미사일을 피해 곡예비행을 한다. 선더볼트라 는 이름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사용된 프로펠러로 작동하는 전투기였던 P-47 선더볼트를 기리기 위해 붙여진겄이다. 어벤저개틀링 건(Avenger Gatling gun)
혹은 회전대포는 지금까지 비에 장착된 것 중가장 강력한 총이다. 원형은 1861년 미국남북전쟁(1861~65)이 시작되던해 리차드 개틀링
(Richard Gatling, 1818~1903)에 의해 발명되었다. 운용국 - 미국
미국이 1972년 생산해 1977년부터 실전 운용한 A-10은 기체에 GAU-8/A 어벤저 30mm 회전식 기관 1문을 고정으로 장착한다. 1천170여발을
장착한 30㎜ 기관포탄은 열화 우라늄으로 처리된 철갑소이탄으로 전차나 장갑차를 관통할수있다. 이런 능력으로 A-10은 ‘탱크 킬러’라는
별명을 얻었다. MK-80, BLU-27/CBU-2(집속탄), JADAM(통합직격탄), CBU-105 WCMD(확산탄) 등 의 폭탄과 AIM-9 사이드와인더 및
AGM-65 매버릭 미사일도 탑재한다. 흰 연기를 내뿜고 기관포를 난사하면서 저공으로 돌진하는 기체모습을 빗대어 성난 ‘혹멧돼지’(Warthog)
라고도 부른다. 10년 더 현역에 남아 탱크킬러 라는명성을 이어갈겄같다. (2030까지 운용)
A-37 드래곤 플라이
A-37 드래곤 플라이 : A-37B형은 한국공군에서도 대량 운용한 기체이기도 한데 대한민국 공군에서는 남베트남 패망 후 20여대의 A-37B
인수하여 AT-33 공격기를 대체한 후 원주공항의 8전투비행단에서 2007년까지 사용하고 전량 퇴역하였다. 한편 부조종사석에 연막 제조기를
장착하고 불필요한통신용 안테나를 제거하는 등의 개조를 거치고서 공군 곡예비행팀 블랙이글스용으로도 사용해왔다. 오랫동안 무사 고 운용
되던 기종이었지만 2006년 5월 5일 경기도 수원 10전투비행단에서 있었던 어린이날 행사에서 A-37B가 추락, 조종사 김도현 소령이 순직
하면서 급속히 퇴역이 결정, 현재 T/A-50에 교체되었다. 다만 타원형 동체와 직선익이 만들어내는 실루엣이 주는 미묘한 느낌이 부족하다며
A-37을 그리워하는 사람들 도 있는 듯. 일부 블랙이글스 소속기체는 전국 각지에 전시용 기체로 활용되었고 8대는 페루공군에 무상으 로 양도
되어 지구 반대편에서 지금도 잘 날아댕기고 있다. 운용국 - 페루 , 외 남미소수국가
AS-130 공격기
AC-130 건쉽
베트남전이 끝나자 AC-47D 건십을 비롯한 각종 건십들은 퇴역하게 되고, AC-130 건십만이 남게 되었다.
베트남전 말기 개발된 AC-130H 스펙터(Specter)는 베트남전 이후 발생한 각종 분쟁에서 혁혁한 전과를
기록한다. 미국의 그레나다 침공과 파나마 침공 등에 참가했고, 1991년 걸프전에도 참가했다. 걸프전 당시
이라크 군의 견착식 대공 미사일에 1기가 격추되고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지만, 그 위력은 절대적이었다.
걸프전 이후 등장한 AC-130U 스푸키는 이전의 AC-130H 스펙터에 비해 야시장비와 사격통제장비도 강화되었고,적 방공망 하에서도 효과
적인작전이 가능하도록 전자전 장비도충실하게 갖추었다. 또한 AC-130H 스펙터에 탑재되었던 20mm 벌컨포(Vulcan)는, 보다 큰 구경을
자랑하는 25mm 벌컨포로 교체되었다. AC-130U 스푸키 는 9.11 테러 이후 일어난 아프간전과 이라크 전에서 맹활약을 펼쳤다.
아프간전 이 장기화되면서 AC-130 건십 에 대한 작전 소요가 늘어나자, 미군은 간이형 건십도운용 중에 있다. 대표적인 건쉽은 미 해병대
가 운용중인 KC 130J 공중급유기에, 헬파이어 대전차 미사일 30mm 체인 건(Chain-gun)을 장착한 하베스트 호크(Harvest HAWK)
가 있다. 평상시에는 공중급유기로 사용되지만, 유사시에는 무장을 장착해 건십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미공군 또한 MC-130W 특수전기를
활용한 드래곤 스피어스(Dragon- Spears)를 계획 중이다.
AC-130내부의 105mm 포가시스템 , 포신후미 가 보인다.
105mm 포구를청 소하고있는 승무원
지원공격기 : Lockheed AC-130, 개발사 : 록히드, 제조시 : 록히드마틴 ,보잉
초도 비행 : 1966년(AC-130A)
2억1,000만 달러(AC-130U, 2016년)
1억2,200만 달러(AC-130W, 2016년)
1억1,500만 달러(AC-130J, 2016년)
전 장 : 29.79 m , 전 고 : 11.73 m , 익폭: 40.4 m, 적재중량 : 55,520 kg
이륙중량 : 69,750 kg 최고속도 : 480 km/h 660 km/h(AC-130J)
항속거리 : 4,070 km 상승한도 : 9,100 m
동 력 원 : 엘리슨 T56-A-15 4,910마력 터보프롭 엔진 4기
롤스로이스 AE2100D3 4,591마력 터보프롭엔진(AC-130J)
승 무 원 : 총 13명(AC-130U)
장교: 5명(기장, 부기장, 항법사, 전자전장교, 화력관제장교)
부 사 관 : 8명(항공기관사, TV 오퍼레이터, FLIR 오퍼레이터, 적재관리사, 무장관리사 x 4)
AC-130 건쉽의무장
AC-130A : Surprise Package , C-130A Pave Pront, 7.62 mm MXU-470/A 기관총 2문
20 mm M61A1 기관포 2문 40 mm L/60 기관포 2문
AC-130A : Project Gunship II AC-130A Plain Jane 7.62 mm MXU-470/A 기관총 4문
20 mm M61A1 기관포 4문
AC-130E : Pave Aegis 20 mm M61A1 기관포 2문
40 mm L/60 기관포 1문 105 mm M102 곡사포 1문
AC-130H : Pave Spectre II, 20 mm M61 2문(전기형), 25 mm GAU-12/U 1문(후기형)
40 mm L/60 기관포 1문 105 mm M102 곡사포 1문
AC-130U : Spooky II , 25 mm GAU-12/U 기관포 1문
40 mm L/60 기관포 1문 105 mm M102 곡사포 1문
AC-130W : Stinger II , 30 mm GAU-23/A 기관포 1문, 105 mm M102 곡사포 1문
GBU-39 SDB 유도폭탄 GBU-44 바이퍼 스트라이크 유도폭탄
GBU-53/B 스톰 브레이커 유도폭탄
AC-130J : Ghostrider , 30 mm GAU-23/A 기관포 1문 , 105 mm M102 곡사포 1문
AGM-176 그리핀 공대지미사 , GBU-39 SDB 유도폭탄
GBU-44 바이퍼 스트라이크 유도폭탄, GBU-53/B 스톰 브레이커 유도폭탄
취소&추가 : 120 mm M120박격포, APKWS유도로켓, AGM-114 헬파이어,
공대지미사일, ATL 레이저 105 mm 포탄 를 장전하고 있읍니다
40mm 기관포탄 장전 모습
AC130 왼편으로 보이는 포신 왼쪽 40mm / 오른쪽 105mm 포신
한 국 경 공 격 기
KA-1 :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설계하고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총조립 제작한 전술통제기이다. KT
-1의 파생형으로 플랫앤휘트니사의 950마력 엔진을 탑재하고 있다. 본래명칭은 KO-1이었으나 2007년
10월 1일 KA-1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KO-1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무장으로는 2.75인치 Rocket 1 4
발을 탑재할 수 있다. 이를통해 과거보다 공격적인 의미로 명칭이 변화한 것을볼 수 있다. 이러한 Rocket
에는 표적지시를 위한연막탄 등이 사용되어 전장에서 다른 전투기의 효과적인 폭격을 지원한다
제 원 : 길 이 : 10.26 m, 날개폭 : 10.60m, 날개 면적 : 16.01 m², 높 이 : 3.67 m
자체 중량 : 2,040 kg 전비중량- kg 최대이륙중량 : 3,311 kg
엔 진 : 1× 프랫-휘트니 캐나다 PT6A-62, 950 hp (708 kW) 터보프롭엔진
성 능 : 수평 최대속도 _ 500 km/h (270 kt) 실 속 속 도 : 130 km/h (70 kt)
항속 거리 : 1,688 km (900 n mi) 실 용 고 도 : 11,580 m (38,000 ft)
상 승 률 : 17.8 m/s (3,500 ft/min) 활주거리이륙 : 224 m/ 착륙 397 m
체공 시간 : 3시간 30분 무장적재량 : 1000 kg 기체수명 : 1만 시간
KT-1에서 발전한 전술통제기.한국 공군은 ADD에서 제시한 700마력급 훈련기 KT-1을 쓰길 거부하는
대신, 스위스의 PC-9 훈련기를 사와서 훈련기 겸 무장 장착하여 전술통제기로 쓰려 했다. 그러나 중립
국인 스위스는 "분쟁중인 국가에는 무장을 판매하지 않는다." 라 하여 공군의 PC-9 무장장착형 도입이
좌절되었고, 그래서 공군은 ADD에게 원래의 개발계획 대신 KT-1을 1000마력급 엔진으로 크기를 키워
달라고 요청했다. 그 결과 KT-1이 먼저 생산되고, 뒤이어 전술통제기인 KO-1이 나온 셈. 이후 이 KO-1
은 공격임무를 강조하기 위하여 KA-1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기본무장은 70mm 로켓이며, 이것으로 목표물을 지시하거나 경장갑 목표물일 경우 직접 공격한다. 또한추가
적인 공격능력 확보를 위해 전용 12.7mm 건포드(Gun Pod)를 개발하여 운용중이다. 또한 전자광학센서로
목표물을 확인 한 후, 좌표를 찍으면그것이바로 지휘부로 전송되어서 지휘부가 원할하게 공격기를 목표지점
까지 유도해주는 타게팅포드(Targeting Pod)가 개발할 예정이지만 예산문제로 아직 미정인 상황이다.저속
기어여서 생존성 논란이 많지만, 이는 전선통제기라는 특성상 피할수 없는숙명이다. 전선통제기란 적 지상군
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한 다음 아군 공격기 부대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데, 아무리 센서류가 발달한 지금도
적 지상군을 확실히 식별하는데 제일 좋은 것이 사람의 눈이다.게다가 우리군은 전용전선통제기를 대량 보유
하기 어려운 형편이므로 여러대를 수시로 내보내는 것 보다는, 몇 대를 장시간 체공시키며 써야하는데 이런
장시간 체공에는 제트기보다는 프롭기가 장시간 체공에 유리하다. 운용국 - 한국 , 브라질 , 외
FA- 50
2002년 8월 20일 T-50 훈련기, 2003년 9월 4일 A-50 공격기, 2011년 5월 4일 FA-50 전투기가 초도비행
에성공했다. 그러나, T-50 훈련기는 "골든이글"이라고 명명하였으나, A-50 공격기와 FA-50 전투기는 따로
이름을 정하지 않았다. KAI는 록히드 마틴과 T-50A 훈련기, T-50B 공격기(A-50), T-50C 전투기(F-50)의
세가지를 계획했으며, 공격기부터 개발을 시작하고, 훈련기를 다음 순서로 개발했다. F-50 전투기 개발은 KAI
에서는 계속 그 필요성을 요청했으나, 대한민국 공군에서는 주문을 거부해 왔다. 그러나, 결국 대한민국 공군은
F-50 전투기 개발을 승인했으며, 대신 공격기와 전투기를 따로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을 하여서, 공격기
겸 전투기인 다목적 전투기를 개발키로 했다.
따라서 F-50이 아니라 FA-50으로 명명되었고,기존에 공격기로개발했던 A-50은 TA-50 전환훈련기로
명명했다.따라서, T-50 골든이글, A-50, F-50의 세 기종이 개발이 되었으나, A-50 공격기사업은사실
상 취소되었고, T-50 골든이글 훈련기와 FA-50 다목적 전투기(전투기겸공격기)의 양대 체제가 되었다.
2013년 8월 20일 부터 양산 1호기가 공군에 인도되기 시작했다. 2014년10월 30일 1개 대대급 총 20대
가 실전배치되어 임무 수행을 시작했다. 이후 2019년까지 추가로 총60대를 실전 배치해 총3개 대대급으
로